안녕하십니까? 반도체 현업 종사자 입니다.

 

(PAP)plasma absorption probe관련하여, 측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플라즈마 밀도 측정입니다.

 

일단 측정을 하기 위해서 펄스제너레터, 펄스 트리거, 오실로스코프등을 준비하여 측정을 하고 있는데요.

 

원리가 주파수에 따라서 전자밀도를 측정하는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일반검색자료애서 (PAP)plasma absorption probe관련 자료가 잘 검색이 되지 않아서요....

 

교수님, 외람되지만, (PAP)plasma absorption probe관련 원리와 추천해주실 논문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이 측정 방법도 간접적 측정이 아닌 직접적 측정방식으로 알고 있습니다. 랑뮤어 프로브는 플라즈마 간섭현상이 있어서 정확도 떨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느데....제가 생각하기로는 분광기를 통한 전자밀도 측정이 정확하다고 생각합니다. 굳이 (PAP)plasma absorption probe를 사용하는 이유가 있는지요?? 다른 방법대비 장점이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하루 보내십시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629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55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356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4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744
280 SCCM 단위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Flow rate] 148754
279 DC 글로우 방전 원의 원리 좀 갈켜주세여.. 134607
278 VPP,VDC 어떤 FACTOR인지 알고 싶습니다. [Vpp, Vdc와 플라즈마 발생 원리] [1] 55957
277 RF frequency와 RF power 구분 39507
276 Self Bias [Self bias와 플라즈마 특성 인자] 36737
275 플라즈마 밀도 [Langmuir 탐침과 플라즈마의 밀도] 30536
274 플라즈마의 정의 29684
273 압력과 플라즈마 크기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Mean free path] [1] 29550
272 물질내에서 전하의 이동시간 29466
271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관계 29078
270 반도체 관련 질문입니다. 28666
269 sheath와 debye sheilding에 관하여 [전자와 이온의 흐름] 28409
268 플라즈마 물리학책을 읽고 싶습니다. [플라즈마 도서 추천] 28383
267 플라즈마 온도 [Density와 Temperature] 28098
266 이온과 라디칼의 농도 [해리도와 전자 에너지 분포] file 27408
265 self bias (rf 전압 강하) 27096
264 충돌단면적에 관하여 [2] 26703
263 plasma와 arc의 차이는? [Arc의 temperature] 25723
262 self Bias voltage [Self bias와 mobility] 24400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