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P anode sheath 질문드립니다.

2021.07.15 08:42

해운대온천 조회 수:609

안녕하십니까. 플라즈마 관련 회사를 다니는 사람입니다.

 

쉬스에 관해서 조금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1. ccp방식에서 전극을 캐소드, 애노드 라고 표현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배터리와 같은 관점으로 전류가 나오는 곳을 캐소드라고 하는건가요?

 

2. 캐소드 쉬스가 애노드 쉬스 보다 두꺼운 이유는 무엇인가요?(단순히 A/C ratio때문인지...?), 두 전극의 면적차이가 같을 경우에도... 쉬스의 두께 차이가 존재하나요?

 

인터넷으로 블로그에 나와있는 글을 봤는데 거기서는, "양이온은 애노드로 접근하기 힘들겠지만, 전자들은 이보다 훨씬 빠르게 애노드로 들어갈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애노드에서는 중화되버리고, 전위의 차이가 매꿔지게 된다. 즉 , 쉬스 포텐셜의 차이가 줄어들게 되고, 얇은 쉬스가 될수 밖에 없다" 라고 되어있더라구요... 오히려 더 헷갈리는거 같습니다..

 

(쉬스라는것은 전자와 이온의 속도차이에 의해서, 전극 표면에 쌓인 음전하들로 대전되어, 전위가 플라즈마 보다 낮고, 전자는 들어가기 힘들고, 양이온은 많이 들어가는... 그러한 공간을 말하는것 아닌가요?)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60] 73039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7635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5517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5705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6031
141 챔버 시즈닝에 대한 플라즈마의 영향성 [1] 107
140 PECVD Cleaning에서 Ar Gas의 역활 [1] 127
139 CCP RIE 플라즈마 밀도 [1] 214
138 plasma striation 관련 문의 [1] file 263
137 진공수준에 따른 RF plasma 영향 관련 질문 [1] file 289
136 RPSC 시 Pressure와 Throttle Valve Position의 관계 [1] file 300
135 H-field 측정위치에 따른 H Field MAP 변화 관련 [1] 328
134 수중방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379
133 핵융합 질문 [1] 398
132 Plasma에 의한 분해 및 치환 반응(질문) [1] 400
131 ICP lower power 와 RF bias [1] 416
130 연속 Plasma시 예상되는 문제와 횟수를 제한할 경우의 판단 기준 [1] file 417
129 Tribo-Plasma 에 관해서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419
128 전자밀도 크기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Ar, O2, N2 가스) [1] 443
127 Plasma Ignition 시 Gas 사용에 대한 궁금증 요청드립니다. [1] 446
126 해수에서 플라즈마 방전 극대화 방안 [1] file 456
125 조선업에서 철재절단용으로 사용하는 가스 프라즈마에 대한 질문 [1] 502
124 ICP 대기압 플라즈마 분석 [1] 509
123 라디컬의 재결합 방지 [1] 528
122 ICP Dry Etch 진행시 정전기 발생에 관한 질문입니다. [1] 54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