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M Plasma Lissajous figure에 대하여..

2004.07.02 00:31

이석근 조회 수:20749 추천:281

질문 ::

안녕하셨습니까? 저번 제주도 학회때 인사드렸던, 연세대 정보표시재료 연구실의 이응석입니다. 다름이아니라,, 논문을 읽다보니 Lissajous figure를 이용하여 대기압 플라즈마의 특성을 분석하곤 하는데,, 여러 져널을 뒤져봐도 Lissajous figure에 대하여 정확히 기술된 논문을 구하지 못하여 이렇게 부탁드립니다. 제가 알고싶은것은 원리, 실험적인 측정방법, plot하는 법등을 알고 싶은데,, 혹시 이러한 의문점에 대하여 참고할 만한 서적이나 논문이 있으면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답변 ::

저희 실험실을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먼저 Lissajous figure는 보통 대기압 플라즈마에서 Q-V Lissajous 곡선을 통하여 그 특성을 알수 있는데 Q-V Lissajous 란 인가된 전압에 따라 하전되는 전하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Lissajous  곡선을 이용하여 대기압플라즈마의 특성을 알 수 있는데 먼저 Lissajous  곡선을 평행사변형이라 가정하고 소모에너지, 소모 전력를 구할수 있습니다. 또한 대기압플라즈마 중에서도 DBD(Dielectric barrier Discharge)는 arc방전을 억제하고 스트리머를 발생하기 위해 유전체를 전극사이에 삽입하게 되고, 따라서 반응기에는 공기의 정전용량과 유전체의 정전용량이 존재하게 됩니다. 이때 Q-V Lissajous 곡선을 사용하면 인가전압의 변화에 따라 공간내에 절연 파괴가 일어나기 전 전하량의 변화를 통하여 반응기 전체 정전용량을 구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절연파괴가 일어난 후  전하량의 변화를 통하여  절연체의 정전용량을 얻을 수 있습니다.  
Q-V Lissajous 곡선은 전류를 적분하여 전하량 Q를 통하여 얻을수 있습니다.

더 자새한 사항은
- Manheimer, Sugiyama, Stix " Plasma Science and The Enviroment ", AIP PRESS, 1997
- T. C. Manley " The Characteristics of The Ozonator Discharge", Trans. Elctrochem.Soc. 1943
- 박봉경, 김윤환, 장봉철, 조정현, 김곤호 "반응기 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대기압 DBD반응기의 동작특성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440-448, 10(4), 2001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861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88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415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79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832
73 RPS를 이용한 SIO2 에칭 [Etch와 remote plasma] [1] 2817
72 플라즈마 밀도 관련 문의 드립니다. [대기압 플라즈마와 라디컬 생성] [1] 2923
71 RF 주파수와 공정 Chamber 크기의 상관관계 [Standing wave effect] [1] 2935
70 ECR 플라즈마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ECR과 uniformity] [1] 3038
69 Ar과 O2 plasma source에 따른 ignition condition에 대하여 질문 있습니다. [Step ionization, Dissociative ionization] [1] 3053
68 수소 플라즈마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MFC와 H2 gas retention] [3] 3300
67 PP & PET 친수성과 접착성 유지 질문입니다. [소수/친수성 조절 연구] [1] 3584
66 RF plasma 증착 시 arcing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Arc와 cleaning] [1] 4055
65 CCP 구조가 ICP 구조보다 Arcing 발생에 더 취약한가요? [Breakdown 전기장, 아크 방전] [3] 4225
64 고온의 플라즈마와 저온의 플라즈마의 차이 [플라즈마 물리/화학적 특성, 중성입자 거동 및 자기장 성질] [1] 4446
63 CCP/ICP 의 플라즈마 밀도/균일도 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Plasma source와 loss] [3] 4523
62 RPSC 관련 질문입니다. [플라즈마 발생과 쉬스 형성, 벽면 및 시료 demage] [2] 5096
61 챔버내 Arcing 발생 개선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Arc 형성 조건] [3] 5729
60 액체 안에서의 Dielectric Barrier Discharge에 관하여 질문 드립니다! [플라즈마 발생 방식과 성질] [1] 6577
59 공동형 플라즈마에서 구리 전극의 식각 문제 [공동형 토치의 운전법 및 방전특성이해] [2] 6585
58 코로나방전, 이온풍 관련 문의 드립니다. [Reaction rate 및 reaction rate coefficient] [1] file 6977
57 저온플라즈마에 관해서 [플라즈마 방전의 특성] [1] 7084
56 CCP에서 DIelectric(유전체)의 역활 [유전체 격벽 방전] [1] 7935
55 CCP 설비에서 Vdc, Vpp과 Power에 대해 문의드립니다.[CCP와 Vdc, Vpp] [1] file 8122
54 상압 플라즈마에 관하여 문의 드립니다. [DBD와 플라즈마 방전 메커니즘] [1] 838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