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P CCP의 electrod 재질 혼동 [PECVD와 화학물 코팅]

2004.06.25 16:47

관리자 조회 수:16651 추천:270

질문 ::

저는 반도체 제조 관련 업종에 종사하며, 플라즈마 Etch, CVD 등의 장비 분석을 맡고 있습니다. 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하였으나, 그다지 관심이 없던 플라즈마 분야를 본의 아니게 맡게 되어 골머리를 앓고는 하다가, 이곳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이런 귀한 사이트를 운영하시는 김곤호 교수님께 우선 감사와 존경을 표하고 싶습니다. 더불어 질문을 하나 드리려고 합니다.

CCP 에서 전극 (electrode) 의 재질이 무조건 금속일 것으로 생각해왔는데요, 인터넷 검색이나 문헌 등을 보면, 그렇지 않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RF discharge 의 경우, 전극이 반드시 금속일 필요는 없으며 dielectric material 일 수도 있다고 합니다 (Si, quartz, ceramic 등). 물론, 기본적으로 금속 재질 plate 를 이러한 유전 물질로 coating 했을 것으로 짐작이 되는데요, 그렇다면,

CCP 전극이 순수 metal 일 경우와 유전 물질일 경우의 차이점 (RF power 전달 효율, sheath 의 상태, electrode 의 damage) 을 알고 싶습니다.

답변 ::

CCP 전극의 재질은 도체나 부도체를 써도 플라즈마를 발생하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특히 여기서 전력이 인가되는 power electrode 쪽의
재질이 문제가 될턴데, 이곳에서의 쉬스 전위는 self bias 효과에 의해서만들어진 전극표면의 전위에 대해서 형성되고 이 크기로 이온이 삽입됩니다. Self bias는 float 된 표면에서 발생함으로 전극의 표면이 도체건,
부도체건 큰 문제가 없을 것 입니다. 따라서 먼저 self bias를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으며 (이미 설명하였습니다.) 이때  쉬스 전위 에너지를 갖는 이온이
전극과 충돌하여 전극 표면으로 부터 이차전자가 방출되는데 이들
이차전자들은 플라즈마 발생에 매우 큰 영향을 주게 됩니다. 따라서
이차전자 방출계수가 큰 전극 물질이 플라즈마 발생 측면에서는 유리합니다.
따라서 실제 많은 반응기에서는 반응기내부의 청정문제등을 고려하여
전극에 세라믹등을 씌워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85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88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414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79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832
53 Microwave 장비 관련 질문 [RF Plasma의 주파수에 따른 파장의 길이] [1] 8830
52 N2 환겨에서의 코로나 방전을 통한 이온생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방전 장치의 플라즈마 성능 평가] [1] file 8944
51 수중 플라즈마에 대해 [수중 플라즈마의 화학 반응 현상] [1] 9151
50 대기압 플라즈마에 대해서 9802
49 저온 플라즈마 장비에 관련하여 자문을 구합니다. 9932
48 수중 방전 관련 질문입니다. [수중 방전 플라즈마의 특징] [1] 9992
47 Remote Plasma에서 Baffle 재질에 따른 Plasma 특성 차이 [플라즈마의 유지와 쉬스] [1] 10764
46 Arcing(아킹) 현상 및 local plasma 관련 문의 [ESC와 matcher] [1] 14037
45 냉각수에 의한 Power Leak [Density와 Power] 14525
44 remote plasma 데미지 질문 [DC glow discharge와 Breakdown] [1] 14945
43 In-flight plasma process [Remote Plasma와 Plasma Torch] 15619
42 ICP TORCH의 냉각방법 [냉각수와 와류] 16023
41 플라즈마로 처리가 어떻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수중방전의 heating source] [1] 16375
» CCP의 electrod 재질 혼동 [PECVD와 화학물 코팅] 16651
39 좁은 간격 CCP 전원의 플라즈마 분포 논문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전력 인가와 플라즈마 밀도] [2] 17051
38 RF 변화에 영향이 있는건가요? 17604
37 유전체 플라즈마 17718
36 capacitively/inductively coupled plasma [Heating mechanism과 coolant] 17961
35 Plasma Dechuck Process가 궁금합니다. 18055
34 DBD plasma [Excitation과 Power Current] 18208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