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중저전압 플라즈마방전을 이용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는데 조언을 얻고자 합니다.

금형개발한 전극에 DC24를 인가하여 상수도수안에서 적당량의 미세기포를 발생시켰으며, 리스테리아균, 대장균등을 99.9% 이상의

살균결과를 얻었읍니다. 그런데, 해수의 비브리오균에 대한 살균여부를 문의한 바이어 요청으로, 

염도 1%의 물에 금형개발한 전극을 담그고, DC24V를 인가하였더니 미세기포가 상수도수에 비해 적게 발생하는 것입니다.

염도 1%(최대 2%)의 물에서, 금형수정없이, DC24V로  미세기포를 좀 더 생성시킬 방안이 없을까요??

(상수도수에서 전극에 걸리는 전류치는 4A수준임.) 

참고로, 1) 전기전도도가 높은 유체에서 미세기포가 덜 활성화되는 정확한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2) 상수도수에서 전류치가 4A가 걸리면, 염수에서는 어느정도가 될까요? 

*바쁘시더라도 꼭~~ 답변부탁드립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3] 103675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744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600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547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6053
73 플라즈마 챔버 [화학반응 및 내열조건] [2] 1714
72 Remote plasma source의 주파수 400kHz 이유 [Remote plasma 이해] [1] 1660
71 DBDs 액츄에이터에 관한 질문입니다. [Plasma actuator와 DBD 방법] [3] 1642
70 dbd-플라즈마 질문있어욤!!!!! [플라즈마 생성 반응] [1] file 1630
69 RF Generator 주파주에 따른 Matcher Vms 변화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 [1] 1608
68 수방전 플라즈마 살균 관련.. 문의 드립니다. [플라즈마 기술 센터 문의] [1] 1602
67 micro plasma에 사용되는 전력을 알고 싶습니다. [Wave guide 설계 및 matcher 설계] [1] 1563
66 ICP Chamber Type의 Belljar Arcing관련 문의드립니다. [국부 전기장 형성 및 reflect power] [2] 1541
65 공정플라즈마 [플라즈마 입자 거동 및 유체 방정식] [1] 1473
64 anode sheath 질문드립니다. [Sheath 형성 메커니즘] [1] 1472
63 산소 플라즈마 처리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DBD] [1] 1450
62 CCP에서 접지된 전극에 기판을 놓았을 때 반응 [Self bias] [1] 1421
61 HEATER 교체 이후 SELF BIAS 상승관련 문의 [Self bias와 dummy 공정] [1] 1408
60 CCP Plasma 해석 관련 문의 [Diffusion] [1] file 1399
59 반도체 METAL ETCH시 CH4 GAS의 역할 [플라즈마 식각기술] [1] 1282
58 ICP Dry Etch 진행시 정전기 발생에 관한 질문입니다. [국부 전기장 형성 및 edge 세정] [1] 1257
57 주파수 증가시 플라즈마 밀도 증가 [ICP, CCP 플라즈마 heating] [1] 1253
56 Si Wafer에 Plasma를 처리했을때 정전기 발생 [Particle 관리] [1] 1222
55 플라즈마 구에서 나타나는 현상이 궁금합니다. [Breakdown condition 및 Paschen's law] [1] 1218
54 Tungsten 표면 Contamination 제거(실명재등록) [Atmostpheric pressure plasma jet] [1] 121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