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M Plasma 상압 플라즈마 방전에 관한 문의
2011.06.20 10:33
안녕하세요
조금전 상압 플라즈마 방전과 관련한 내용을 전화로 문의드렸던 사람입니다.
서면으로 정리하여 문의드리는 쪽이 편하다고 하시어 이렇게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우선 저희가 연구중인 제품은 저온 상압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한 이온발생기로서 기본적인 목적은
항균/탈취/바이러스 제거 등 실내공기 정화입니다.
저희가 사용하는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출력 전압 : ± 2.5kV ~ 4.5kV (DC, AC pulse 두가지 타입)
2. 사용 전극 : 침상 전극 (+), (-) 각 1개
- 두개의 전극간 이격 거리 : 30mm (최적의 전극간 이격거리를 현재 찾고 있음)
- 침상 전극의 형태는 얇은 철판을 5mm X 10mm 크기로 끝을 뾰족하게 만든 전극형태를 사용
3. 구동조건 : 상압,상온
4. 외관 : 침상 전극에 다치지 않도록 커버가 있으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직경 5pi 수준의 구멍이
각각의 전극 상단에 위치함
이에 문의드리고자 하는 내용은,
1) 최적의 저온 상압 플라즈마 방전의 조건
- (+)이온, (-)이온의 발생이 가장 많이되는 최적의 출력전압조건(DC, AC or pulse / Voltage level)
- 침상전극의 형태
- 침상전극간 이격 거리
2) 저온 상압 플라즈마 방전에 대한 논문등의 자료
- 추천하시는 논문/서적/사이트/연구실/전문기관/전문가 등
적다보니 너무 광범위한 내용이 되어버려서 죄송합니다.
아는 것은 적은데 알고 싶은것이 너무 많은 탓이라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바쁘시겠지만 검토부탁드리며, 회신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조금전 상압 플라즈마 방전과 관련한 내용을 전화로 문의드렸던 사람입니다.
서면으로 정리하여 문의드리는 쪽이 편하다고 하시어 이렇게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우선 저희가 연구중인 제품은 저온 상압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한 이온발생기로서 기본적인 목적은
항균/탈취/바이러스 제거 등 실내공기 정화입니다.
저희가 사용하는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출력 전압 : ± 2.5kV ~ 4.5kV (DC, AC pulse 두가지 타입)
2. 사용 전극 : 침상 전극 (+), (-) 각 1개
- 두개의 전극간 이격 거리 : 30mm (최적의 전극간 이격거리를 현재 찾고 있음)
- 침상 전극의 형태는 얇은 철판을 5mm X 10mm 크기로 끝을 뾰족하게 만든 전극형태를 사용
3. 구동조건 : 상압,상온
4. 외관 : 침상 전극에 다치지 않도록 커버가 있으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직경 5pi 수준의 구멍이
각각의 전극 상단에 위치함
이에 문의드리고자 하는 내용은,
1) 최적의 저온 상압 플라즈마 방전의 조건
- (+)이온, (-)이온의 발생이 가장 많이되는 최적의 출력전압조건(DC, AC or pulse / Voltage level)
- 침상전극의 형태
- 침상전극간 이격 거리
2) 저온 상압 플라즈마 방전에 대한 논문등의 자료
- 추천하시는 논문/서적/사이트/연구실/전문기관/전문가 등
적다보니 너무 광범위한 내용이 되어버려서 죄송합니다.
아는 것은 적은데 알고 싶은것이 너무 많은 탓이라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바쁘시겠지만 검토부탁드리며, 회신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1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5] | 75787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470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677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8065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90360 |
23 | 대기압 플라즈마 문의드립니다 [1] | 104 |
22 | Tungsten 표면 Contamination 제거(실명재등록) [1] | 919 |
21 | DBD Plasma Actuator 원리에 대한 질문입니다. [1] | 753 |
20 |
dbd-플라즈마 질문있어욤!!!!!
[1] ![]() | 1360 |
19 | DBDs 액츄에이터에 관한 질문입니다. [3] | 1287 |
18 | 플라즈마 밀도 관련 문의 드립니다. [1] | 2618 |
17 |
N2 환경에서의 코로나 방전을 통한 이온생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1] ![]() | 8532 |
16 | 상압 플라즈마에 관하여 문의 드립니다. [1] | 8074 |
» | 상압 플라즈마 방전에 관한 문의 [1] | 20256 |
14 | 대기압 플라즈마 | 40460 |
13 | 상압 플라즈마 관련 문의입니다. [1] | 21476 |
12 | 대기압플라즈마를 이용한 세정장치 | 21501 |
11 | 대기압 상태의 플라즈마 측정 | 19695 |
10 | Lissajous figure에 대하여.. | 20567 |
9 | 기중방전에서 궁금한것이 | 19134 |
8 | 상압플라즈마에서 온도와의 관계를 알고 싶습니다. | 19710 |
7 | DBD플라즈마와 플라즈마 impedance | 20161 |
6 | DBD plasma | 18047 |
5 | 플라즈마를 이용한 오존 발생장치 | 28809 |
4 | DBD란 | 275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