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r Virtual Matching [Impedance matching]

2004.06.25 11:01

관리자 조회 수:16960 추천:364

질문 ::

안녕 하십니까?
저희 회사에서는 반도체 공정중 Dry Etching장비를 생산하고 있는 회사인데
개인적으로 몇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도움을 청합니다.
저희 Matching Network는 Coil을 이용하여 Power전달 및 Phase를 조정하고 또 Capacitor를 움직여 Impedance를 조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Source는 Multi Pole ICP Type입니다.
그런데 저희 장비에서 가끔 Source RF On시 Plasma가 Chamber내에서 발생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Reflect RF가 0watt로 Matching되는 현상이 가끔 일어나고 습니다.
왜 이러한 가상 Matching이 일어나는지에 대하여 알고 계시면 답변을 부탁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실험 방법이 있는지에 대하여 도움을 부탁 드립니다.
참고로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Type의 Matching Network를 사용하여 보았지만 동일한 문제가 가끔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 현재 Dry Etch에서의 요즘 기술 추이는 Chamber 내부에 Anodizing을 하여
Chamber내부의 부식과 Metal오염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을 하고 있는데
이로 인하여 Chamber내부의 Anode면적이 줄어들어 다른 문제가 발생할 소지는 없는지요. 예를들어 Self Bias의 값이 줄을 가능성은 없는지..
아니면 다른 문제의 가능성은 없는지에대하여 경험이나 지식이 있으시면
답변을 부탁 드리겠습니다.


답변 :: (정만환)

저의 의견이 도움이 될런지 모르겠습니다.
저의 경험으로 보면 문의하신 내용은 Impedance matching이 되지
않은 상태라고 보여집니다.
reflect power가 0[watt]이면 보통 match가 되었다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match controller의 성능이 좋다면?? auto match mode일때는 impedance match가 100%이루어 지지 않더라도 reflect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겁니다.  하지만, 실제 power loss는 생기는것이지요.
실제 match controller나 RF->Match->load 사이에 열 방생이 있을겁니다.
질문하신사항중에. self bias를 문의하셨는데요..
아시겠지만, 면적에 4승에 비례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여지구요.
혹시 impedance anlyzer가 있으면(이것은 고가장비입니다.)check해보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phase, current, R, X .. 거의 모든 값을 다볼수있죠. 좋은장비입니다.
RF generator가 50옴, 케이블 50옴,
-> 여기에 Match + Load(무엇이지를 잘 모르지만은요)가 50옴이 되어야 된다는 겁니다.  
이것을 해결하기위해서는 load capacitor 와 tune capacitor를 움직여
맞춰어 주어야 하는데요. 해결되지 않으면 load에 대하여
Match spec이 많지 않은것입니다.
이것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다른 해결방안이 있기는 하지만, 먼저 위의 사항부터 체크하는것이 좋을듯합니다.
별 내용없이 길어 진것 같은데요.. 궁금한것이 있는데요.
처음 셋업하시는건가요. 아님 사용하던 것인지.
조금더 도움이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제가 아는만큼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26] 97405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3711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0407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2259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2599
52 RF calibration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6126
51 ESC Chuck 기능이 Wafer 위에서의 Chemical Bond 생성을 boosting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ESC, 쉬스 전기장 및 bias 전력 조절] [1] 6129
50 안녕하세요. ICP 플라즈마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문의를 드립니다. [VI probe] [3] 6387
49 Matcher의 Load, Tune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궁금합니다. [플라즈마 임피던스 및 내부 임피던스 변화] [2] 6630
48 플라즈마 건식식각 장비 부품 정전척 공정 진행 후 외각 He-hole 부위 burning 현상 매커니즘 문의.. [플라즈마 leak와 국부방전] [1] 6721
47 ETCH 관련 RF MATCHING중 REF 현상에 대한 질문입니다. [플라즈마 응답 특성] [1] 7513
46 RF Generator와 Impedance 관련 질문있습니다 [High Power RFG] [2] 7910
45 정전척 isolation문의 입니다. [Paschen's law와 절연파괴현상] [1] 7993
44 RF Power reflect 관련 문의 드립니다. [연속공정] [4] 9427
43 플라즈마에 하나도 모르는 완전초보입니다.. 도와주십시오 ㅠㅠ [플라즈마의 진공과 가스 주입] [1] 10262
42 ICP 구성에서 PLASMA IGNITON시 문의 [ICP와 플라즈마 발생] [1] 10327
41 matcher에서 load, tune의 역할이 궁금합니다. [Matcher와 impedance] [1] 12118
40 반응기의 면적에 대한 질문 [전극의 면적에 따른 전압 강하] 12888
39 플라즈마 분배에 관하여 정보를 얻고 싶습니다. [플라즈마 영향 인자] 13287
38 Bipolar, J-R Type Electrostatic Chuck 에서의 Discharge 원리가 궁금합니다. 13550
37 ESC Dechuck과 관련하여 궁금한점이 있어 문의를 드립니다. [1] 15598
» Virtual Matching [Impedance matching] 16960
35 ESC Chuck Pit 현상관련 문의 드립니다. file 17199
34 Electrode의 역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이차전자의 방출과 스퍼터링] 17472
33 electrode gap 18107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