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C CVD CCP/ICP 사용간 Wafet Bias volt 줄어듬 현상 문의드려요
2017.09.21 20:04
반도체 종사하고 직장인 입니다
상기건으로 네이버 백방으로 검색하다가 우연찬게 가입을하고
약 4시간 가량 정말좋은 자료들 시간가는 줄 모르고 보게 되었습니다
저희 회사 UBM Etch 장비가 process 상 변경된 factor 는 없구요
최근 챔버 웨이퍼 RF Chuck 바로 밑에 Al plate 원판을 신규 가공품을 사용했구요
용도는 플라즈마를 가둬두는 용도 정도로 알고있고요
현상이 이전까지는 웨이퍼 바이어스 전압이 -180~-200V 의 컨디션 이였는데
최근 바이어스 전압 형성이 -110~-130v현저히 떨어졌습니다
공정은 CCP 500w ICP400w Ar 45sccm 입니다
현재 문제 focus 를 Al plate 로 보고있는데요
바이어스 전압이 기존대비 떨어질수있는 원인이
웨이퍼와 직접적 contact 되어지는 RF Chuck 의 문제인지
챔버 오염과도 영향성은 있는거 같고요....
순간 컨디션이 변경되어 참 난감한 상황입니다
테스트를 ICP Power 를 낮추어주면 바이어스값은 증가가 되구요
웨이퍼표면의 전자량이 동일조건 기존대비 줄어들수 있는 인자가 궁금합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5] | 75768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453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672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8028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90321 |
97 | Dry Etcher 내 reflect 현상 [2] | 22161 |
96 | ICP 플라즈마 매칭 문의 [2] | 21128 |
95 |
전자파 누설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1] ![]() | 21037 |
94 |
CCP형, 진공챔버 내에서의 플라즈마...
[1] ![]() | 20274 |
93 | 플라즈마 matching | 20098 |
92 | 석영이 사용되는 이유? [1] | 19905 |
91 | [질문] 석영 parts로인한 특성 이상 [1] | 19783 |
90 | CCP/ICP에서 자석의 역활에 대하여 | 19297 |
89 | MFC | 19287 |
88 | scattering cross-section, rf ground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2] | 19154 |
87 | 최적의 펌프는? | 18506 |
86 | Faraday shielding & Screening effect | 18293 |
85 | electrode gap | 17885 |
84 | Electrode 의 역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 17254 |
83 | Virtual Matchng | 16815 |
82 |
ESC Chuck Pit 현상관련 문의 드립니다.
![]() | 16787 |
81 | ESC Dechuck과 관련하여 궁금한점이 있어 문의를 드립니다. [1] | 14305 |
80 | 플라즈마 분배에 관하여 정보를 얻고 싶습니다. | 13161 |
79 | 반응기의 면적에 대한 질문 | 12783 |
78 | 플라즈마에 하나도 모르는 완전초보입니다..도와주십시오ㅠㅠ [1] | 9707 |
큰일이군요. 저희는 chuck의 cap을 기준 값으로 생각합니다. 즉, wafer bias는 DC offset 값을 의미하는데, 이는 플라즈마의 전하가 하전(충전)되어서 생기는 값으니, cap의 역할로 이해를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가지 더 생각할 점은 chuck의 표면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서 충전되는 전하량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문제는 Al plate를 넣기 전과 넣은 후의 chuck의 cap 값이 변하면 충전량이 바뀌게 되며, 기본적인 cap의 성질은 전극간의 간격, 즉 plate 두께, wafer 간의 간격 (미세 간격 포함)과 가공 표면 상태 즉 접촉면(접촉 저항을 고려합니다)등에 대해서 기존과의 차이를 찾아 보시고, Al 재료(분순물 포함 정도) 등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혹시 재조립을 해도 같은 값이 나오면 현재 셋팅이 인정하고 레시피를 잡아서 운전하는 것이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