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반도체 공정을 공부하고있는 취업준비생입니다.

장비 실습 경험 중 Dielectric Etcher (CCP)장비에서 총 3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60MHz, 27MHz, 2MHz)의 Power Generator를 사용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제가 공부한 바로는

고주파(60MHz, 27MHz, 13.56MHz) : Plasma Density(Source Power)

저주파(2MHz) : Ion Energy(Bias Power)

으로 사용하는 것같은데

 

1) 사용하는 가스에 따라 (60MHz, 2MHz) 혹은 (27MHz, 2MHz)의 조합으로 2개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하나의 공정에서 3개의 주파수를 다 사용하는 것일까요?

 

2) 이를 Dual Frequency CCP 라고 하나요?

 

3) 60MHz 제너레이터로는 27MHz 파워를 만들지 못해서 3개의 제너레이터를 사용하나요?(제너레이터에 적혀있는 주파수만 낼 수 있는 것인지)

 

 

모든 공정에서 이렇게 사용한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일반적으로 어떻게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0] 10182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442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091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131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283
194 플라즈마내에서의 아킹 [Charge와 plasma potential] 43920
193 ECR plasma 장비관련 질문입니다. [ECR과 enhanced process] [2] 35281
192 PEALD관련 질문 [Passivation 막 증착 과정] [1] 33007
191 RF에 대하여... 32549
190 DC Bias Vs Self bias [전자 에너지 분포] [5] 32017
189 RF Plasma(PECVD) 관련 질문드립니다. 31900
188 [Sputter Forward,Reflect Power] [Sputter와 matching] [1] 31616
187 [re] H2/O2 혼합 플라즈마에 관련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립니다. file 30533
186 PECVD에서 플라즈마 demage가 발생 조건 [쉬스와 플라즈마 밀도에 의한 damage] 30067
185 OLED에서 SF6와 CF4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Etching] [1] 29998
184 H2/O2 플라즈마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꼭 답변점… [폭발과 pressure] [1] 25163
183 스퍼터링에서 DC bias의 감소 원인이 궁금합니다.. 25127
182 Dechucking 시 wafer 상의 전하 문제 24416
181 Arcing [아크의 종류와 발생 원인] 24413
180 N2 플라즈마 공정 시간에 따른 Etching rate의 변화 이유가 알고 싶어요 [Cooling과 Etch rate] [2] 24168
179 Dry Etch장비에서 Vdc와 Etch rate관계 [플라즈마 및 반응기 임피던스] [1] 23215
178 Dry Etcher 에 대한 교재 [플라즈마 식각 기술] [1] 22794
177 질문있습니다 교수님 [Deposition] [1] 22700
176 플라즈마 코팅 관하여 [PECVD와 화학물 코팅] 22203
175 펄스바이어스 스퍼터링 답변 2207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