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반도체 관련 엔지니어입니다.

 

N2, Ar Plasma 를 사용하여 미세 Pattern Pad 표면 세정을 하려고 합니다.

 

세정물 오염원은 C, Si 등을 포함한 성분인데요.

 

N2 와 Ar 중 어떤게 더 효과적일지 궁금합니다. ( 사용 원소에 따른 플라즈마 처리 세기의 차이가 있을거 같은데.. )

 

자료를 찾다보니 아래와 같이 기술된 것도 있던데 맞나요??

- 사용 기체로 산소 및 질소를 사용하였을 경우 아르곤을 사용한 플라즈마 처리 시 보다 에칭 효과 우수

- 산소 사용 시 질소 사용보다 표면 에칭 효과 우수

※ 표면 에칭: 아르곤 < 질소 < 산소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3132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9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483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50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907
74 O2 플라즈마 표면처리 관련 질문2154 [1] 6952
73 Ar Gas 량에 따른 Deposition Rate 변화 [Depo radical 형성 및 sputtering] [1] 9054
72 RPS를 이용한 NF3와 CF4 Etch Rate 차이 [물리적/화학적 세정] [4] 6991
71 Dusty Plasma의 진단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Sheath 전기장 및 instability] [1] file 871
70 poly식각을 위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file 1582
69 SiO2 식각 위한 Remote Plasma Source관련 질문 드립니다. [반응성 기체 생성] [1] 6276
68 모노실란(SiH4) 분해 메카니즘 문의 6467
67 HF + LF 사용 중, LF와 POWER와의 관계에 대한 질문입니다. [Sputtering 및 particle issue] [1] 4793
66 Ar plasma power/time [Self bias와 sputtering 효과] [1] 1786
65 안녕하세요 반도체 공정 중 용어의 개념이 헷갈립니다. [공정 용법] [1] 18707
» N2, Ar Plasma Treatment 질문입니다. [쉬스 전위 및 플라즈마 세정] [1] 12478
63 Plasma 에칭 후 정전기 처리 [표면 전위 생성 및 방전] [3] 3389
62 Dry Etching Uniformity 개선 방법 [장치 구조에 따른 공간 분포] [2] 4920
61 DC스퍼터링과 RF 스퍼터링에서의 처음 전자의 출처와 처음 이온의 생성 질문 [플라즈마 생성과 Sputtering] [2] 4206
60 M/W, RF의 Plasma에 의한 Ashing 관련 문의드립니다. [DC 글로우 방전 및 Breakdown] [1] 3549
59 HF+LF 사용 중. HF Power 증가 시 Depostion Rate 감소 현상 문의 [전자의 에너지와 중성입자와의 충돌] [1] 3230
58 플라즈마 균일도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플라즈마 밀도와 중성 가스의 균일도] [1] 8372
57 플라즈마 데미지에 관하여.. [Charge의 축적과 damage] [1] 6752
56 고온 플라즈마 관련 8160
55 안녕하세요, 질문드립니다. [플라즈마 토치와 환경처리] [2] 6776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