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nodule의 형성원인

2004.06.19 16:52

관리자 조회 수:16816 추천:321

김곤호 교수님께서 정말로 수고를 많이 하고 계십니다. 저는 군산대학교에 근무하는 주정훈 교수입니다. 스퍼터링과 유도결합플라즈마의 결합된 응용을 공부하고 있는데, 마침 nodule을 질문하셔서 제가 책에서 본 것을 써 봅니다.
nodule의 형성 원인은 스퍼터수율의 차이가 나는 물질의 형성을 들고 있는데, 합금이나 반응성 스퍼터링에서 생기는 산화물, 질화물들이 바로 그 예가 되겠습니다. 즉, Cr을 산소 분위기(O2, CO2...)에서 스퍼터링하면 metallic mode (표면에 산화물이 거의 생기지 않는 정도의 분압)에서는 타겟 표면에 스퍼터수율이 낮은 산화물이 생기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이때에는 기판의 박막도 metallic 에 가까운 조성을 가지기 때문에 현실적인 운용 조건은 아니지요. 따라서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급변부(절벽부)주위의 반응성 가스 분압에서 조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는 타겟 표면의 일부가 산화되어 산화물이 형성됩니다. 이 산화물은 스퍼터 수율이 낮으므로 주변의 금속보다 덜 스퍼터되고 오히려 그 밑둥의 금속이 스퍼터가 잘 되겠지요. 즉 깃발꽂은 모래성의 밑동을 깍아 나가는 것입니다. 이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폐기한 타겠의 표면에 보이는 작은 돌기들이 많이 생기게 됩니다. 일단 발생하면 스퍼터수율이 낮은 부분이 전면 적의 일부를 차지하므로 이에 비례해서 박막 형성 속도가 감소하겠지요.
최근의 시술은 pulsed dc power와 pulsed gas supply를 이용해서 타겟을 계속 metallic mode로 유지하면서 반응성 스퍼터링을 할 수 있도록 피이드백 회로로 조절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 같습니다.
hollow cathode sputtering이나 full face target sputtering등도 제안되고 있지요. 고전적으로는 타겟을 제조할때의 공정에 따라서 미세조직이나 표면 형상에 차이가 많으데 이런 차이들이 반응성 스퍼터링에서 nodule형성 정도에 차이를 가져 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저도 반도체 회사에 근무한 경력이 잇는데, 엔지니어들 사이에서 기술의 전파가 잘 안되는 것을 보고 답답한 적이 있었습니다. 장비메이커에 연수 다녀오면 중요한 사실들을 자기만 알고 이야기를 안하는 것이지요. 다른 사람이 또 연수를 가면 똑 같은 질문들만 한다고 메이커의 기술 담당자가 의아해 하는 경우도 보았습니다. 작년에 크닝 구미에서 교육도 했었는데, 아주 전문가들이더군요. SDI에서도 사내에서 잘 찾아 보십시오. 전문가가 있을 것입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13] 79561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133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8129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9695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4596
33 RIE장비 에서 WALL 과 TOP 온도 20486
32 교육 기관 문의 17813
31 스퍼터링시 시편 두께와 박막두께 [박막의 하전량 변화] [1] 21769
30 PECVD에서 플라즈마 demage가 발생 조건 [쉬스와 플라즈마 밀도에 의한 damage] 29905
29 플라즈마 코팅 관하여 [PECVD와 화학물 코팅] 22157
28 wafer 전하 소거: 경험 있습니다. 20528
27 DCMagnetron Sputter에서 (+)전원 인가시 [플라즈마 부유 전위] 19755
26 DC SPT 문의 [절연체의 전위] 19719
25 sputter 16891
24 Arcing [아크의 종류와 발생 원인] 24005
23 Splash 발생 및 감소 방안은 없는지요? [Splash와 TG Maker] 18100
22 plasma cleanning에 관하여 [Sputtering과 Etch] 20899
21 ICP 식각에 대하여… [Electronegative plasma] 16995
20 박막 형성 [ICP와 MOCVD] 15325
19 플라즈마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 [코로나 방전, 먼지 집진] 19679
18 플라즈마 처리 [표면처리와 Plasma Chemistry] 16971
17 플라즈마내에서의 아킹 [Charge와 plasma potential] 43799
16 스퍼터링 후 시편표면에 전류가 흘렀던 흔적 [Capacitance와 DC ripple] 17906
15 sputtering 18345
14 증착에 대하여... 18144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