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sition PEALD관련 질문 [Passivation 막 증착 과정]
2019.06.21 13:12
안녕하십니까?
현재 에쳐장비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데...
PEALD관련논문을 서치중에 있습니다.
PEALD관련 혹시 추천해주실 논문이나 자료가 있다면,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십시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 102922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24689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61432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73481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105843 |
174 | 스퍼터링시 시편 두께와 박막두께 [박막의 하전량 변화] [1] | 22034 |
173 | UBM 스퍼터링 장비로… [UBM과 열팽창 및 coating] [1] | 21189 |
172 | plasma cleanning에 관하여 [Sputtering과 Etch] | 20972 |
171 | wafer 전하 소거: 경험 있습니다. | 20603 |
170 | RIE장비 에서 WALL 과 TOP 온도 | 20565 |
169 | Sputter 시에 Gas Reaction 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 20554 |
168 | DCMagnetron Sputter에서 (+)전원 인가시 [플라즈마 부유 전위] | 19802 |
167 | DC SPT 문의 [절연체의 전위] | 19775 |
166 | H2/O2 혼합 플라즈마에 관련 질문 입니다. [2] | 19736 |
165 | 플라즈마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 [코로나 방전, 먼지 집진] | 19731 |
164 | 플라즈마를 이용한 박막처리 | 19694 |
163 | Full Face Erosion 관련 질문 [2] | 19638 |
162 | 플라즈마의 환경이용 | 18848 |
161 | 안녕하세요 반도체 공정 중 용어의 개념이 헷갈립니다. [공정 용법] [1] | 18696 |
160 | 물리적인 sputterting | 18478 |
159 | sputtering | 18436 |
158 | 증착에 대하여... | 18211 |
157 | Splash 발생 및 감소 방안은 없는지요? [Splash와 TG Maker] | 18195 |
156 | 스퍼터링 후 시편표면에 전류가 흘렀던 흔적 [Capacitance와 DC ripple] | 18123 |
155 | Plasma of Bio-Medical Application | 18068 |
에처 쪽의 PEALD 관심은 passivation 막 증착 과정의 세밀한 제어를 목적으로 할 것 같습니다. 공정 난도가 클 때 쓰는 기술로서 개발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실공정 기술에 경험이 있는 팀이 잘 알것 같군요. 원리에 대해서는 많은 교재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울러 장비 쪽으로 문제를 보려면 아래 '질소 플라즈마..' 댓글로 부터 펄스 플라즈마 역할과 접목해서 문제를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