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uttering RF Sputtering Target Issue
2022.10.28 21:14
안녕하세요 교수님. 이번에 새로이 RF 스퍼터를 사용하게 된 학생입니다.
첨부한 이미지와 같이 현재 metal oxide 타겟을 이용하여 증착 후 타겟에 검은색 ring 모양의 contamination이 생기는 이슈가 있습니다.
서칭 결과 Magnetic feild로 인한 redeopsition으로 추청되는데 해당 현상이 맞는 것인 지와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e.g. RF power 감소)을 여쭙고자 합니다.
아직 스퍼터를 사용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많이 미숙하여 자체적인 판단이 어려워 도움을 요청드리는 바입니다.
날이 많이 추워졌는데 건강 조심하시고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댓글 2
-
김곤호
2022.11.08 17:10
-
신승민
2023.02.14 16:53
oxide나 nitride를 target으로 하여 rf sputtering 때 자주 겪는 현상입니다.
비 에로전 영역의 탈산 탈질화 현상은 oxygen, nitrogen을 주입해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는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non-stoichiometric material이 re-deposition됬을 확률도 있습니다 (필드에서 non-erosion area는 sputtering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고 봅니다.)
제 경험으로 말씀드리는 것이라 정확한 이론은 탑재되어있지 않으나 산소나 질소를 주입하여 ceramic target을 healing하는 process를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depo recipe에 healing gas를 주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20] | 75427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166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480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559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9369 |
32 | O2 플라즈마 사용에 대한 질문을 드립니다. | 626 |
31 | 안녕하세요 OLED 증착 시 궁금한점이있어 문의드립니다 [2] | 615 |
30 | 기판 위에서 Radical의 운동역학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2] | 608 |
29 | 접착력을 위한 플라즈마 처리 관련 질문입니다 [1] | 602 |
28 | Si 표면에 Ar Plasma Etching하면 안되는 이유 [1] | 599 |
27 |
Dusty Plasma의 진단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1] ![]() | 586 |
26 | 플라즈마 샘플 위치 헷갈림 [1] | 545 |
25 | [재질문]에칭에 필요한 플라즈마 가스 [1] | 510 |
24 | 전자기장 및 유체 시뮬레이션 관련 [1] | 501 |
23 | Polymer Temp Etch [1] | 498 |
22 | 기판표면 번개모양 불량발생 [1] | 452 |
21 | magnetic substrate와 플라즈마 거동 [3] | 427 |
» |
RF Sputtering Target Issue
[2] ![]() | 427 |
19 |
Chamber 내 Pressure와 Fluid Density, Residence Time 거동
[1] ![]() | 407 |
18 | ICP Dry Etch 설비 DC bias Hunting 관련 질문드립니다. [1] | 400 |
17 | PDP 방전갭에 따른 휘도에 관해 질문드려요 [1] | 395 |
16 | 타겟 임피던스 값과 균일도 문제 [1] | 354 |
15 | AlCu Dry Etch시 Dust 잔존문제 | 320 |
14 | PEALD 장비에 관해서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1] | 265 |
13 | 텅스텐 Plasma Cleaning 효율 불량 [1] | 251 |
스퍼터 특성에 대해서는 군산대학교 주정훈교수님께 문의드려 보세요. 경험이 많으시고 장비 운전에 대한 노하우도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고려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