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ision Collisional mean free path 문의...
2018.05.31 17:13
안녕하십니까.
Collisional mean free path 에 대해 궁금한 게 있습니다.
공기중 산소분자가 8.4eV에서의 해리 충돌단면적이 1E-16 cm2라고 하면, n은 단위부피당 산소 분자의 개수를 대입하는 것인지, 질소+산소 포함한 개수를 대입하는 것인지요???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18] | 75408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148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477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536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9320 |
408 | Depo시 RF 초기 Reflect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 1305 |
407 | I-V characteristic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1] | 1181 |
406 | 플라즈마 기초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 901 |
405 | 플라즈마 깜빡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 2002 |
404 | OES 원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1] | 24941 |
» | Collisional mean free path 문의... [1] | 722 |
402 | Etch공정(PE mode) Vpp 변동관련. [1] | 2141 |
401 | 플라즈마 색 관찰 [1] | 3818 |
400 | 플라즈마 장비를 사용한 실험이 가능할까요 ? [1] | 14104 |
399 |
langmuir probe관련하여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1] ![]() | 915 |
398 | DC Plasma 전자 방출 메커니즘 | 960 |
397 | 플라즈마에 관해 질문 있습니다!! | 24093 |
396 | MATCHER 발열 문제 [3] | 1335 |
395 | 플라즈마 기초입니다 [1] | 1217 |
394 | O2 플라즈마 클리닝 관련 질문 [1] | 1467 |
393 | CCP에서 전자밀도증가 -> 임피던스 감소 과정 질문있습니다. [3] | 1468 |
392 | 플라즈마 실험을 하고 싶은 한 고등학생입니다.... [1] | 1548 |
391 | PR wafer seasoning [1] | 2613 |
390 | 플라스마 상태에서도 보일-샤를 법칙이 적용 되나요? [1] | 6508 |
389 | 플라즈마 기본 사양 문의 [1] | 585 |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평균값의 개념으로 접근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즉, 산소 분자의 밀도와 산소의 해리 충돌 단면적을 쓰면 산소의 MFP라 이해해도 좋을 것입니다. 공기의 해리 값으로 생각해 보려면 질소 분율에 대한 질소 MFP+산소 MPF (분율 값의 보정치)를 사용해도 좋을 것 입니다. 다만 CX 값은 최대 값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MFP는 가장 충돌할 확률이 큰 값에 기반하였음을 상기하실 필요가 있겠고 이는 그 값의 전후에서 충돌이 일어날 확률은 다분히 존재하고 있음을 예상해야 한다는 말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