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 플라즈마 샘플 위치 헷갈림
2022.06.07 20:57
안녕하세요.
현재, 플라즈마 장비를 이용하여 표면구조 처리를 하고자 하는 대학원생 조원희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플라즈마를 주로 전공하는 과 가 아니기 때문에, 현재 연구실에 있는 플라즈마 샘플 위치에 헷갈림이 좀 있습니다.
오래전 저희 연구실에서는 O2와 Ar을 이용하여, 표면을 친수성으로 만들거나 고분자에 Ar/O2를 혼합하여 etching을 하였었는데, 경험 하신분들이 다 졸업을 하시는 바람에, 여기에 도움을 청하게 됐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1. O2만을 이용하여 표면을 친수성으로 만들때의 표면 위치와
2. Ar을 이용하여 etching을 할때의 표면 위치가
두 경우에 다른지가 궁금합니다.
타겟으로 하는 표면을 각각의 경우에, 챔버 내부의 RF Power와 Matching box가 연결되어 있는 부분에 두어야 하는지, 그 반대에 두어야 하는지 혹시 도와주실 분이 계신가요..?
참고로 샘플은 PDMS (고분자) 입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01] | 3646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5336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0576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2991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2] | 82094 |
669 | 플라즈마 관련 교육 [1] | 9 |
668 | 방전수 활성종 중 과산화수소 측정에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 18 |
667 | 반도체 관련 플라즈마 실험 [1] | 33 |
666 | 스퍼터링 Dep. 두께 감소 관련 문의사항 [1] | 40 |
665 | Dry Chamber VPP 변동 관련 질문입니다 [1] | 88 |
664 | 플라즈마 진단 공부중 질문 [1] | 110 |
663 | RF 파워서플라이 매칭 문제 [1] | 124 |
662 | RF Power 인가 시 Gas Ramping Flow 이유 [1] | 136 |
661 |
구 대칭으로 편광된 전자기파를 조사할 때에 대한 질문입니다.
[1] ![]() | 142 |
660 | 플라즈마 세정처리한 PCB, Lead Frame 재활용 방법 [1] | 160 |
659 | 공정 진행 중 의도적인 섭동 효과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 186 |
658 | 안녕하세요 DBD 플라즈마 소독 관련질문입니다. [1] | 186 |
657 | doping type에 따른 ER 차이 [1] | 229 |
656 | 타겟 임피던스 값과 균일도 문제 [1] | 249 |
655 | Co-relation between RF Forward power and Vpp [2] | 252 |
654 | H-field 측정위치에 따른 H Field MAP 변화 관련 [1] | 254 |
653 |
연속 Plasma시 예상되는 문제와 횟수를 제한할 경우의 판단 기준
[1] ![]() | 262 |
652 | SiO2 박말 밀도와 반응성 간 상관 관계 질문 [1] | 265 |
651 |
CCP 설비에서 Vdc, Vpp과 Power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 | 266 |
650 | Flu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1] | 267 |
저희도 공정 경험이 없어 답을 드리기 힘들지만, 다음 키워드로 조사를 하면 계시판 답글에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으실 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공정이슈로 보입니다.
다만 관련 플라즈마에 관해서는 세정, 폴리머, 친수성, RIE 모드 또는 플라즈마 모드, self-bias 현상과 관련이 있을 것 같아 키워드 추천드립니다. 혹시 여력이 되면 음이온 플라즈마의 공간 분포의 현상에도 관심을 가져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