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플라즈마 클리닝 설비를 다루고 있는 엔지니어입니다.

설비 평가중 궁금한점이 있어서 문의하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현재 저희 설비는 CCP 구조의 다이렉트 쳄버로 RF Generator와 Matcher를 사용하는 

플라즈마 세정 설비입니다.

 

금번 평가시 사용하였던 자재는 Cu Layer가 노출되어있는 PCB 자재이고 챔버내 Rail이 3개로

Full Loading시 3개가 로딩되는 형식입니다. 그리고 가스는 Ar 10sccm에 파워 425W, 시간 100sec를 쓰고 있습니다.

 

여기서 문제가 되고 있는 점이, 자재 3개 (Full Loading) 로딩시에는 문제가 없는데

1ea개만 로딩하였을때 Rail 위치 상관없이 Cu Layer에서 Discolor (Cu층이 어둡게 변함)가 나오고 있습니다.

저희 판단으로 Cu가 산화 반응을 일으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렇게 자재 로딩 수에 따라 Discolor가 나오기도 하고 안나오기도 하는점이 이해가 안되고

플라즈마 이론적으로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몰라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저희가 생각하기에는

첫번째, 같은 쳄버내 체적, 같은 가스량으로, 플라즈마 이온들이 아무래도 3개의 자재의 

분산되다 보니 자재당 플라즈마 효과는 떨어지고 그래서 Discolor도 적어진다고 생각하고,

 

두번째, Full Loading시 1개 로딩보다 상대적으로 전자 축적이 분산되어 약한 음전위(Self Bias)가 걸리게 되어

플라즈마 효과가 감소되고 Discolor도 감소하게 되지 않나 생각하고 있습니다.

 

플라즈마 전문가분들께 꼭 답변을 들어 원인을 알아내 해결을 하고 싶습니다.

부디, 플라즈마에 대한 넓은 식견과 해안으로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저희 설비 CCP구조 도식 및 실제 쳄버사진도 참고용으로 첨부하였습니다. (사진내 자재는 금번 질문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플라즈마 쳄버.png

 

CCP 쳄버구조.png

답변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82] 75027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8870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343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6868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8354
163 Compressive한 Wafer에 대한 질문 28
162 메틸기의 플라즈마 에칭 반응 메커니즘 [1] 55
161 PEALD 장비에 관해서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1] 127
160 RIE 식각공정중 발생하는 가스를 예측할 수 있는 메카니즘에 대해 질문하고싶습니다. [1] 137
159 텅스텐 Plasma Cleaning 효율 불량 [1] 196
158 Ashing 공정에 필요한 O2 plasma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202
157 [재질문]에칭에 필요한 플라즈마 가스 228
156 ICP Dry Etch 설비 DC bias Hunting 관련 질문드립니다. [1] 248
155 AlCu Dry Etch시 Dust 잔존문제 257
154 Si 표면에 Ar Plasma Etching하면 안되는 이유 [1] 312
153 Chamber 내 Pressure와 Fluid Density, Residence Time 거동 [1] file 319
152 타겟 임피던스 값과 균일도 문제 [1] 338
151 RF Sputtering Target Issue [2] file 354
150 기판표면 번개모양 불량발생 [1] 362
149 Polymer Temp Etch [1] 378
148 PDP 방전갭에 따른 휘도에 관해 질문드려요 [1] 391
147 magnetic substrate와 플라즈마 거동 [3] 413
146 전자기장 및 유체 시뮬레이션 관련 [1] 471
145 플라즈마 샘플 위치 헷갈림 [1] 509
144 Sticking coefficient 관련 질문입니다. [1] 53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