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컵의물을 고열증발코저 합니다.
인터넷이나 관련자료를 확인해보니 마그네트론관에의한
극초고주파로 전자운동에의해 고열증발 할수있다고 하는데
기존 사용중인 전자레인지의 마그네트론관은 크기및전력량이
너무커서 소형 마그네트론관이있으면 소개부탁드리고요
또는 마그네트론관 외에 새로운 소자가개발되어 있으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만약 소형마그네트론관(1/2 컵 정도 물을 끓일수있는)이 있으면
인가되어지는 고압발생 전원장치는 smps 방식으로 소형화제작
가능합니다.
부디 해답바랍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637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60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358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43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747
653 Plasma Gas의 차이점 [플라즈마 화학 반응 및 에너지 전달] [1] 18467
652 TMP에 대해 다시 질문 드립니다. 18449
651 sputtering 18433
650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플라즈마 18431
649 플라즈마와 사용되는 기체선택 18412
648 PDP 에 대해서.. 18405
» 마그네트론관 또는 그외반도체소자로 물을 고열증발가능? 18400
646 ICP에 대하여 [DC glow 방전과 ICP 플라즈마 발생] 18324
645 rotational vibration excitation [TLD와 IRLAS] 18302
644 RF Power에 따라 전자온도가 증가하는 경우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Power와 Gas ionization] [1] 18296
643 저온 플라즈마에 관한 질문 18285
642 진로상담 [플라즈마 응용분야] 18258
641 DBD plasma [Excitation과 Power Current] 18208
640 증착에 대하여... 18208
639 Splash 발생 및 감소 방안은 없는지요? [Splash와 TG Maker] 18193
638 electrode gap 18149
637 플라즈마의 정의 18129
636 QMA에서 electron beam의 generation 과정 [1] 18127
635 스퍼터링 후 시편표면에 전류가 흘렀던 흔적 [Capacitance와 DC ripple] 18119
634 플라즈마를 알기위해서는 어떤것을 알아두는 것이 좋.. [플라즈마 기초] 18093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