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pacitively/inductively coupled plasma

한가지 잘 못 이해하고 있는 것이 있습니다. 전극이 반응기 내외부에 있는 여부로 ICP/CCP 플라즈마를 구별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capacitively coupled plasma 는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전자가속이 일어나 에너지를 얻어 이온화에
의해 만들어진 플라즈마를 의미하며 Inductively coupled plasma는 말 그대로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에서 형성된 자기장이 시간이
따라서 변할 때 자기장 주변으로 형성되는 전기장으로 부터 전자가 가속 에너지를 얻고 이온화를 통해 만들어진 플라즈마를
의미하는 말로써 써야 합니다. 물론 일반적인 ICP 반응기에서 CCP현상에 의한 플라즈마 발생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약간의 혼돈은 여기서 생길 수 있습니다만 두 현상을 구분해서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울러 다음 항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271/259/225/205/126/95)
냉각수로 power leak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 가정용 물을 냉각수로 사용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적어도 증류수를 사용하도록 하는 편이 옳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73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77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391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62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796
633 Plasma of Bio-Medical Application 18067
632 Plasma Dechuck Process가 궁금합니다. 18055
631 플라즈마 응용분야 17976
» capacitively/inductively coupled plasma [Heating mechanism과 coolant] 17960
629 플라즈마 온도중 Tr의 의미 17957
628 플라즈마에서 전자가 에너지를 어느 부분에서.. 17903
627 충돌 17893
626 교육 기관 문의 17842
625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상호작용 [Magnetic Confinement] 17777
624 유전체 플라즈마 17718
623 불꽃이 쫒아오는 이유 17707
622 고온플라즈마와 저온플라즈마 [Collision과 Wall loss] 17612
621 RF 변화에 영향이 있는건가요? 17604
620 Electrode의 역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이차전자의 방출과 스퍼터링] 17504
619 [re] H2/O2 혼합 플라즈마에 관련 질문 입니다. 17295
618 PSM을 이용한 Radical 측정 방법 [이온화 전자 전류의 증가] file 17238
617 ESC Chuck Pit 현상관련 문의 드립니다. file 17231
616 플라즈마를 이용한 발광시스템에 관한 연구 [Plasma lamp] 17192
615 RF에 대하여,, [Pierson coil과 V-I probe] 17183
614 Light flower bulb 17172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