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질문이 몇가지 있읍니다.

2010.01.20 05:23

park sung min 조회 수:19169 추천:147

저온플라즈마에 관해 관심이 많으며 플라즈마를 이용한 플라스틱 개질 및 환경기술을
개발해 보려 합니다.
기존에는 플라즈마를 제외한 복합파동을 이용한 기술부분들이었으나 기술적 한계성
에 의해 플라즈마부분을 병용해 보려 고려중입니다만 플라즈마에 대한 이해와 상식이
많이 부족한 상태라 도움 부탁드리는 바입니다.

1.플라즈마가 자기장에 의해 구속된다는 의미를 좀더 명확히 알고 싶읍니다.
   즉 자기장에 구속된다는 의미가 magnetic well의 의미처럼 자기장으로 폐쇠된
   제한된 공간내에 가두어 진다는 의미인지 아니면 자기장과의 일정한 거리를 둔 영역에서의
   전자물리적 현상에 의한 구속력을 의미 하는지요?

2. 자기장에 의해 저온플라즈마가 구속된다면(위의 어떤 방식으로든) 자기장의 인가극성(S/N극)
   에 따른 거동의 차이점이 있는지요?
   S극이 인가될때,N극이 인가될때,S극과 N극이 대향상태일때,또는 S/S,N/N이 대향될때의 거동
   차이가 있는지요?
3.저온플라즈마가 자기장에 의해 어떤 방식이로든 구속이 된다고 할때 예를 들어 OH' radical이
   수용액중에 들어 가면 hydroxy radical이 되어 전자기를 유지하는 상태가 되었을때 수중에서도
   자기장에 의한 구속이 발생될 수 있는지요?

4.플라스틱의 표면개질 방향을 1.전도체물질(예:알루미늄,탄소)로 플라즈마를 이용한 코팅후
  전기도금에 의한 세라믹 도금 2.플라스틱에 직접 세라믹을 코팅하는 방향으로 볼 수 있는데  
  비용 및 성능 측면에서의 효율적인 방향으로 어느방향이 나을런지요?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4] 75745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9430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655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7981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0185
67 RF tune position 과 Vrms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1] 902
66 3-body recombination 관련 문의드립니다. [2] 871
65 문의 드립니다. [1] 830
64 RF MATCHING 관련 교재 추천 부탁드립니다 [1] 815
63 플라즈마 장치 관련 기초적 질문입니다. [1] 796
62 Shield 및 housing은 ground 와 floating 중 어떤게 더 좋은지요 [2] 796
61 안녕하세요 플라즈마의 원초적인 개념에서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1] 780
60 플라즈마 충격파 질문 [1] 767
59 Collisional mean free path 문의... [1] 739
58 플라즈마용사코팅에서의 carrier gas [1] 728
57 플라즈마 용어 질문드립니다 [1] 712
56 RF 전압인가 시 LF와 HF 에서의 Sheath 비교 [1] 695
55 코로나 전류가 0가까이 떨어지는 현상 [1] 688
54 교수님 질문이 있습니다. [1] 686
53 Ion과 Radical의 이동 거리 및 거리에 따른 농도와 증착 품질 관련 [1] 662
52 안녕하세요. 플라즈마 기체분자종에 따른 기판charing정도차이 문의 [1] 653
51 Hollow Cathode glow Discharge 실험 관련해서 여쭤보고싶습니다. [1] file 639
50 플라즈마를 통한 정전기 제거관련. [1] 636
49 RF magnetron sputtering시 플라즈마 off현상 [1] 611
48 플라즈마 진단 공부중 질문 [1] 598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