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 OLED에서 SF6와 CF4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2022.12.07 14:13
안녕하세요.
Etching과 Deposition을 같이 최근에 공부를 시작하고 있는 회사원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최근 기사에서 LCD->OLED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OLED 특성상(유기발광체 때문??) SF6를 NF3로 대체가 어렵다는
내용의 기사를 봤습니다.
질문은
1. OLED에서 SF6는 어느공정(Etching / Chamber Cleaning / ??)에 주로 사용되나요?
2. SF6를 NF3로 대체할 수 있는 이유는 뭔가요?
3. CF4도 사용되는 것으로 아는데, 어느공정에 주로 사용되나요?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가지고 계신 문헌과 특허라도 알려주시면 크게 감사드립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79] | 74885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8736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224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6686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8011 |
518 | capacitively/inductively coupled plasma | 17617 |
517 | 불꽃이 쫒아오는 이유 | 17588 |
516 | Plasma Gas의 차이점 [1] | 17584 |
515 | 충돌 | 17568 |
514 |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상호작용 | 17550 |
513 | 플라즈마에서 전자가 에너지를 어느 부분에서.. | 17528 |
512 | RF 변화에 영향이 있는건가요? | 17466 |
511 | 스퍼터링 후 시편표면에 전류가 흘렀던 흔적 | 17403 |
510 | 유전체 플라즈마 | 17393 |
509 | RF Power에 따라 전자온도가 증가하는 경우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1] | 17353 |
508 | Plasma Dechuck Process가 궁금합니다. | 17269 |
507 | 고온플라즈마와 저온플라즈마 | 17177 |
506 | Electrode 의 역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 17171 |
505 | [re] H2/O2 혼합 플라즈마에 관련 질문 입니다. | 17117 |
504 | Light flower bulb | 17052 |
503 | 플라즈마를 이용한 발광시스템에 관한 연구 | 16973 |
502 |
PSM을 이용한 Radical측정 방법
![]() | 16969 |
501 | 형광등으로 부터 플라즈마의 이해 | 16955 |
500 | 플라즈마 처리 | 16863 |
499 | RF에 대하여,, | 16861 |
먼저 성균대학교 염근영교수님의 역저, "플라즈마 식각기술"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