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eath 교수님 질문이 있습니다.
2019.07.01 18:46
안녕하세요 교수님 , 저는 최근들어 반도체공정관련해서 공부중인 지나가던(?) 기계공학과 학생입니다 !
다름이 아니라 , 플라즈마 sheath에 대해 찾아보니까 약간 개념적으로 정확하게 잘 정립이 안되서 이곳저곳 찾다가 이곳을 알게되어
이렇게 질문을하게 되었습니다.
플라즈마 sheath는 제가 찾아본바에 의하면 , 전자는 양이온보다 속도가 빨라서 chamber벽 같은곳에 흡수가 잘되어서 결국 소실되는게 많아
상대적으로 양이온,중성자만 많게된 곳을 sheath라고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 sheath 층은 얇을수록 플라즈마 bulk( 플라즈마 sheath가 아닌영역)안에 있는 양이온이 이동하기가 쉬워서 결국 wafer를 양이온으로 dry etch하는게 더 쉽다는데,
1.왜 sheath층이 얇을수록 양이온이 더 이동하기 쉬운지 알고싶습니다.
2. 그리고 sheath층을 줄이려면 어떤방법들이 있을까요?? ex> (답은아니겠지만...) 가해주는 전압을 줄인다. 등등 간단한식으로 말씀해주셔도 전혀 상관없습니다 !!
감사합니다 교수님 !!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19] | 75416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150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477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545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9324 |
528 | ICP 식각에 대하여... | 16828 |
527 | Virtual Matchng | 16808 |
526 | sputter | 16800 |
525 | 안녕하세요 반도체 공정 중 용어의 개념이 헷갈립니다. [1] | 16762 |
524 |
ESC Chuck Pit 현상관련 문의 드립니다.
![]() | 16749 |
523 | nodule의 형성원인 | 16663 |
522 | 몇가지 질문있습니다 | 16557 |
521 | 좁은 간격 CCP 전원의 플라즈마 분포 논문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2] | 16493 |
520 | CCP 의 electrode 재질 혼동 | 16388 |
519 | 궁금해서요 | 16300 |
518 | 플라즈마의 어원 | 16294 |
517 | 궁금합니다 [1] | 16146 |
516 | 공정검사를 위한 CCD 카메라 사용 | 16021 |
515 | 핵융합과 핵폐기물에 대한 질문 | 16012 |
514 | 역 수소폭탄에 대하여... | 15996 |
513 | 플라즈마로 처리가 어떻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1] | 15942 |
512 | k star | 15942 |
511 | ICP TORCH의 냉각방법 | 15874 |
510 | corona | 15842 |
509 | Sputtering 중 VDC가 갑자기 변화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15826 |
쉬스에 대한 설명을 게시판에 수차례 진행되었으니 한번 더 찾아 보세요. 쉬스 크기 (두께) 가 갖는 함수식을 찾을 수 있겠습니다. 이를 쉬스 대부분은 Child-Langmuir sheath라 하고, collisionless, infinite boundary에서 형성된 쉬스로서 인가 전압 (플라즈마-타킷전압)과 플라즈마 밀도의 함수입니다. 반도체 공정을 공부함에 있어 쉬스에 대한 이해는 '필수'이니 시간 들여서 찾아 보면서 충분히 이해하기를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