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 좋은 글과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반도체 장비 회사에 근무하는 재직자 입니다.


플라즈마 테스트 시 matcher에서 나오는 결과 값에 대해 의문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1. 측정 값 중 RF_V_PEAK 라는 값이 있습니다.

이게 플라즈마 생성기에 인가되는 V의 피크값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 값이 ESC 척에 걸리는 DC bias 값과 동일하다고 생각해도 되나요?


2. 측정 값 중 RF TUNE, RF LOAD, MFC01, MFC02 값이 있습니다.

RF TUNE 값은 제너레이터와 직렬로 연결된 cap 로, 플라즈마 리액턴스 값에 영향을 주고

RF LOAD 값은 제너레이터와 병렬로 연결되어 플라즈마의 임피던스 실수부에 영향을 주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두값은 측정된 임피던스와 대조를 통해서 확인이 끝난 상황인데요,  (Raw 데이터로 그래프 뽑아보면 그래프 형상이 거의 동일하게 나옵니다.)

문제는 MFC01, MFC02값입니다.

이게 실제로 연결된 가변 Cap 값이라고 추정중인데, 이 값들과 임피던스 값, RF load, tune 값이랑은 상관관계를 알 수가 없습니다.

이 값들이 실제로 cap 값을 의미하는건지, 그 값이 맞다면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혹은 다른 값인데 오해를 하고 있는건지..


3. 챔버 내에 장착된 ESC척이나 Heater의 스펙(크기나 cap 값 등)이 챔버의 impedance(RF generater 에서 플라즈마 까지의 impedance) 에 영향을 주는지 알고 싶습니다.


4. 식각, 증착, ESC 성능에 있어서 정전척(또는 Heater)의 cap값이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ESC나 heater에서 cap 값이 충분히 확보가 안되면 self bias 에 손실을 주게 되고 이는 식각과 증착 속도와 퀼리티에 영향을 주며

ESC에서 처킹능력은 cap 값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희 chamber 에 쓰이는 ESC 와 heater의 capacitance 와 impedance 를 정확히 측정하고 싶은데 여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  ESC하나만 측정하기에는, ESC에서는 단자가 1개밖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실제 공정에서 상대 극판으로 이용되는 plasma가 있어야 하는데 이를 impedance analyzer 에서 측정 시 특정 짓기에 어렵습니다.

 -  플라즈마를 대체하여 ESC표면에 금속 판을 올려서 측정할 경우, ESC 내의 grond plate(금속판)에서 반대편 금속 판 까지 ESC body, 공기층(ESC표면에 단차가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웨이퍼까지 존재하는데,

이렇게 구성 될 경우 두 유전체가 일렬로 존재하여 커패시턴스가 직렬로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버려 본래 esc 척의 cap 측정이 불가능해집니다.

여기에 참고 할 수 있을만한 문헌이나 특허, 책이 있다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질문을 하다 보니 정말 길어졌습니다만...

의지할 곳이 여기밖에 없어 도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19] 7541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9151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477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754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9327
528 CVD품질과 RF Delivery power 관계 질문 [1] 1440
527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1] 409
526 remote plasma 데미지 질문 [1] 14063
525 RF generator 관련 문의드립니다 [3] 1676
524 Wafer Warpage에 따른 CCP Type Chamber 내부 Impedance [1] 1012
523 안녕하세요. O2 plasma etching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1] 5252
522 산소 플라즈마 처리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1017
521 플라즈마의 직진성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2] 1155
520 Deposition 진행 중 matcher(shunt,series) 관계 질문 [3] 3339
519 ECR 플라즈마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1812
518 Plasma Dechuck Process가 궁금합니다. 17415
517 HEATER 교체 이후 SELF BIAS 상승관련 문의 [1] 941
516 Vpp, Vdc 측정관련 문의 [1] 3314
515 간단한 질문 몇개드립니다. [1] 488
514 matcher에서 load,tune의 역할이 궁금합니다. [1] 9120
513 Si Wafer에 Plasma를 처리했을때 정전기 발생 [1] 704
512 Hollow Cathode glow Discharge 실험 관련해서 여쭤보고싶습니다. [1] file 620
511 에쳐장비HF/LF 그라운드 관련 [1] 19684
510 매쳐 출력값 검토 부탁 드립니다. [1] 771
509 ICP-RIE process 및 plasma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2] 3404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