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ision 이온과 라디칼의 농도

2004.06.21 15:57

관리자 조회 수:27014 추천:349





질문 ::

이온과 라디칼의 농도에 관한 질문인데여, 다시 말씀드려서 이온화율과 해리율에 관한 질문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고압(수 Torr) 플라즈마에서의 경우 이온보다 라디칼이 많고(평균 자유행로가 짧아서) 저압 플라즈마(고농도 플라즈마)에서는 라디칼보다 이온이 더 많다고 알고 있는데 이것이 맞는지가 궁금합니다.
일반적으로 고농도 플라즈마에서 이온화율이 0.1%정도라고 하는데 해리율은 얼마나 되는지가 궁금합니다.
고밀도 플라즈마가 해리율이 너무 높아서  여러가지 문제점(Flourocarbon계열의 gas를 사용할때, 특히 C/F 비가 높은 기체를 사용할때 높은 해리율로 인한 폴리머 형성때문에 etch rate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나타낸다고 하는데 도대체 얼마나 높다는 것인가가 궁금합니다.
해리율과 이온화율의 상대적 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압력말고도 다른것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그럼 수고하십시오..
ps. 교수님께서 알고 계시는 고등기술연구원의 "송호영"이라는분과 저는 아마도 동명이인인것 같습니다. 저는 인하대학교에서 대학원을 다니고 있는 학생입니다

답변 ::


네 동명이인 이지만, 플라즈마는 맞는군요.
http://www.kinema.com에 가시면  C4F8 에 대해서 계산한 결과가 나와있읍니다. 그 한컷을 첨부합니다.

저도 최근 질화물과 산화물의 증착시 해리도에 관심이 생겨서 조금 기초적인 실험을 하고 있읍니다. UHV (3.9E-10 Torr)에서 하는 실험인데, RF ICP radical gun을 이용하여 여러 조건에 따른 질소, 산소, 수소등의 해리도 측정입니다. 라디칼 건은 내부 압력을 대강 수mTorr - 수십mTorr 정도로 동작되게 하고, 챔버는 5E-5 Torr 이내 입니다. QMS를 사용하여 N/N2 의 비를 측정하고, radical gun내부를 볼수 있는 viewport 를 통해서 건의 뒷편에서 OES로 해리도를 간접 측정합니다. 전에 ICP에서 바로 측정한 결과에 따르면 Ar + N2 에서 N2의 비율이 조금만 높아져도 해리도가 급감하는 것을 측정한 적이 있읍니다. 즉, 재결합이 많고, 높은 전자온도를 요구하는 반응이라는 뜻이겠지요.

여기에는 첨가가스의 역할이 아주 중요한 듯 보입니다. 최근에 PFC abatement 때문에 다시 해리도가 많은 관심이 되고 있기도 하지요. 대개는 전자 에너지 분포의 high energy tail쪽의 portion이 많아져야 한다는 점이 포인트인 것 같읍니다. 즉, 낮은 압력, 높은 전력, 낮은 wall recombination (SUS/anodized Al, Teflon ), 긴 residence time 등이 변수가 될 것입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76] 76861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264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197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749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640
37 코로나 방전 처리 장비 문의드립니다. [1] 470
36 Flu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1] 458
35 스퍼터링 Dep. 두께 감소 관련 문의사항 [1] 452
34 안녕하세요 DBD 플라즈마 소독 관련질문입니다. [1] 451
33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1] 450
32 glass에 air plasma 후 반응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448
31 크룩수의 음극선도 플라즈마의 현상인가요? [1] 438
30 ICP Dry Etch 설비 DC bias Hunting 관련 질문드립니다. [1] 430
29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1] 428
28 플라즈마 공정 후, 친수성으로 변한 표면의 친수성 제거 [1] 410
27 염소발생 전기분해 시 스파크 발생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file 391
26 standing wave effect, skin effect 원리 [1] 390
25 plasma modeling 관련 질문 [1] 387
24 입자에너지에따른 궤도전자와 핵의 에너지loss rate file 376
23 plasma off시 일어나는 현상 문의드립니다 [1] 352
22 Massbalance equation 에서 P(t) 유도과정 342
21 공정 진행 중 의도적인 섭동 효과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324
20 E-field plasma simulation correlating with film growth profile [1] 322
19 RF sputter 증착 문제 질문드립니다. [1] file 318
18 Plasma 장비 소재 특성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315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