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 에칭후 particle에서 발생하는 현상

2004.06.19 16:44

관리자 조회 수:9838 추천:225

Etching 후에 particle에 발생하는 현상은 매우 일반적입니다. 사용하는 gas와 대상 시편간의 화합물 형성 조건과 반응기의 형태등에 따라서 particle 발생과 처리는 매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기도 합니다. 또한 이 같은 현상은 반응기 내부 구조에 따라 매우 민감하고 개스 흐름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반응기 내의 구조에 특히 민감합니다.
실험에서처럼 polymer가 형성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processing 사이에 산소 플라즈마를 사용하여 반응기를 cleaning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이용하고 있겟지요. 또한 반응기 구조에 개스 흐름이 모이는 곳이 없도록 내부 설계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저희 실험실에서는 플라즈마내에 particle이 통과 하였을 경우 particle표면에
얼마나 많은 전하가 하전되는 가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는 표면적에 비례하여 하전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 표면 전하에 의한 전위는 process중에 전기력을 형성하여 반응기 표면에 흡착되던가 자신의 중력을 상쇄하여 플라즈마내에 부유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플라즈마가 꺼지고 표면 전하가 사라지게 되면 균형을 이루던 힘이 깨지고, 즉 전기력을 손실하여 중력에 다른 particle의 자유 낙하가 시작될 것입니다. 이때 gas flow에 다라서 particl 이 배기 되지 못하면 남은 particle은 처리 시편에 떨어지게 됩니다. 이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반응기 내부 구조 설계와 배기 설계 등을 하시면 도움이 될 것 입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934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89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438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82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846
593 ICP TORCH의 냉각방법 [냉각수와 와류] 16025
592 Plasma potential이.. 음수가 될수 있나요?.. 16012
591 Sputtering 중 VDC가 갑자기 변화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15995
590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표면개질에 관해 [1] 15870
589 ESC Dechuck과 관련하여 궁금한점이 있어 문의를 드립니다. [1] 15785
588 플라즈마와 비행기에 미쳤거든여…^ _ ^ ; [플라즈마 우주선 추진 엔진] 15771
587 핵융합반응/플라즈마 15672
586 In-flight plasma process [Remote Plasma와 Plasma Torch] 15621
585 Bipolar, J-R Type Electrostatic Chuck 에서의 Discharge 원리가 궁금합니다. 15496
584 우주 플라즈마 [Plasma의 온도와 밀도] 15474
583 박막 형성 [ICP와 MOCVD] 15387
582 산업용 플라즈마의 특성 [Thermal Plasma와 Cold Plasma] 15301
581 산업용 플라즈마 내에서 particle의 형성 15184
580 remote plasma 데미지 질문 [DC glow discharge와 Breakdown] [1] 14945
579 플라즈마 절단기에서 발생 플라즈마 14910
578 우주 플라즈마 [Orora와 density] 14847
577 laser induced plasma의 측정에 관하여 [Ablation plasma와 resolution] 14799
576 우주에서의 플라즈마의 성분비 [Orora와 density] 14663
575 냉각수에 의한 Power Leak [Density와 Power] 14526
574 플라즈마 장비를 사용한 실험이 가능할까요 ? [반도체 공동 연구소] [1] 14382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