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반도체 엔지니어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궁금한것이 있어 질문을 드립니다.

 

ICP와 CCP에서 동일 파워, 주파수등 플라즈마로 인가되는 전기적 특성과 압력이 동일하다고 가정한다면,

 

Breakendown vlotage의 크가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동일한 공정가스인 아르곤 상황이라면, 결론적으로 ICP의 Breakendown voltage가 더 낮을것으로 생각됩니다.

그 이유는 ICP가 CCP에 비해서 전자와 중성입자간의 충돌 횟수가 더 많이 때문에 더 적은 에너지로 플라즈마를 형성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초기 전압 즉 파워가 ICP와 CCP모두 아르곤을 이온화 시키기에 임계 에너지가 충분하다고 가정)

 

추가적으로 기초적인 질문이지만, 제가 학부시절 회로이론을 공부할때 히스테리시스곡선을 배운기억이 있습니다.

E-H Mode의 변경을 파악하는것으로 판단됩니다. 이 곡선이 왜 중요한지와 간단한 개념의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3] 103361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718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540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523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955
534 플라즈마 발생 억제 문의 [Induction field와 breakdown] [1] 8299
533 CCP 설비에서 Vdc, Vpp과 Power에 대해 문의드립니다.[CCP와 Vdc, Vpp] [1] file 8231
532 고온 플라즈마 관련 8162
531 정전척 isolation문의 입니다. [Paschen's law와 절연파괴현상] [1] 8116
530 MFP에 대해서.. [Collisional cross section] [1] 8091
529 RF Generator와 Impedance 관련 질문있습니다 [High Power RFG] [2] 8022
528 플라즈마 쪽에 관심이 많은 고등학생입니다. [RRC 연구센터 문의] [1] 7966
527 CCP에서 DIelectric(유전체)의 역활 [유전체 격벽 방전] [1] 7940
526 ETCH 관련 RF MATCHING중 REF 현상에 대한 질문입니다. [플라즈마 응답 특성] [1] 7559
525 O2, N2, Ar 플라즈마에 대한 질문입니다. [표면 화학 반응] [2] 7271
524 저온플라즈마에 관해서 [플라즈마 방전의 특성] [1] 7094
523 SiO2를 Etching 할 시 NF3 단독 보다 O2를 1:1로 섞을시 Etching이 잘되는 이유 [ER과 energy transport] [1] file 7037
522 RPS를 이용한 NF3와 CF4 Etch Rate 차이 [물리적/화학적 세정] [4] 7005
521 코로나방전, 이온풍 관련 문의 드립니다. [Reaction rate 및 reaction rate coefficient] [1] file 7000
520 O2 플라즈마 표면처리 관련 질문2154 [1] 6956
519 Matcher의 Load, Tune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궁금합니다. [플라즈마 임피던스 및 내부 임피던스 변화] [2] 6818
518 플라즈마 건식식각 장비 부품 정전척 공정 진행 후 외각 He-hole 부위 burning 현상 매커니즘 문의.. [플라즈마 leak와 국부방전] [1] 6786
517 안녕하세요, 질문드립니다. [플라즈마 토치와 환경처리] [2] 6780
516 O2 plasma, H2 plasma 처리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Chemical reaction과 pressure] [1] 6772
515 플라즈마 데미지에 관하여.. [Charge의 축적과 damage] [1] 6756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