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반도체회사 CVD 설비 담당 엔지니어입니다.

CVD설비 관리, 특히 RF계통 FDC 지수관리 관점에서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질문1)

chamber의 plasma 정보를 모니터링하고자 chamber와 matcher사이에 V,I,Phase를 검출하는 sensor를 사용중입니다.

보통 Voltage와 Current가 높아서 설비DOWN이 발생하는 경우에 V*I*Cos(Phase)를 계산해보면

하단표와 같이 V와 I는 높지만 Phase에 의해 결국 Delivery Power는 거의 동일합니다

 

 SLOT

 Voltage

 Current

Phase

Cos(Rad(Phase) 

Delivery Power 

 voltage high Down slot

100

  (높아서down) 

10 

  -79.7   

0.178802215 

178.8022151 

 정상 slot

 70

 9

-73.5

 0.284015345

178.9296672

 

   ( ↑ 임의의 수치들 )

 ≫ 제 생각에는 V,I 값는 높아도 결국 chamber로 전달되는 delivery power가 같다면 RF/CVD 품질에는 이상이 없을것으로

 추측되는데 해당 내용이 맞는건가요?? 아니면 V,I 수치가 달라지면 delivery power가 동일해도 CVD품질에 이상이 있을 수 있나요?

 

≫ 위와 같이 이런경우에는 V,I가 높지만 Phase는 낮아서 Delivery power는 동일한 값이 되는데,

  이는 voltage와 current가 높아졌지만 일정한 Power를 전달하기 위해 phase(reactance)를 변화하려 series(tune) capacitor가

  동작하는 것인가요??

  (series cap이 Impedance matching을 위해 chambe내 허수 임피던스 성분인 reactance를 제거하고

  이는 V,I간의 phase를 줄이는것과 동치라고 알고있습니다.)  

 

 

 

질문2)

Voltage가 높은값으로 설비 down을 유발하는 slot의 RF관련 타 파라미터를 모니터링 시 대체적으로

ⓛ voltage ↑

② current

③ Phase angle ↓

④ Resistance ↓

⑤ Shunt, Series ↑

이러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RF Rrocess를 진행하면서 해당 현상의 전후관계 및 작용 순서를 알고 싶습니다.

 

예를들어

1. deposition 진행에 따른 Chamber의 오염발생

2. Chamber內 Resistance 감소 (chamber의 오염과 resistance 감소의 상관관계가 있나요..?)

3. Resistance 감소로 인한 voltage, current 상승

4. Resistance 값을 50Ω으로 맞추기 위해 shunt 상승

5. V,I가 상승했지만 Delivery power를 유지하기 위해 Phase변화 (Series 상승)

 

 ≫ 위에 적은것은 그냥 제가 추측한 내용이고

  RF를 진행하면서 위에 적은것처럼 RF소자들의 작용과 흐름을 알고 싶습니다..!

 

 

바쁘시겠지만 확인 후 답변부탁드립니다.

교수님 좋은 하루 되세요! ^^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82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83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407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71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819
533 식각 가스 사용 챔버의 잔류 flourine cleaning 혹은 conditioning 방법 질문 [O2 plasma, ion sputtering] [1] 1643
532 접착력을 위한 플라즈마 처리 관련 질문입니다. [플라즈마 소스 변경] [1] 1646
531 플라즈마에서 가속 전압 또는 RF 파워 관련 질문드려요 [RF power와 power factor] [1] 1658
530 RF 케이블 발열 현상관련 문의 드립니다. 1661
529 잔류시간 Residence Time에 대해 [표면 유속 정보, 유체해석 코드] [1] 1670
528 강의를 들을 수 없는건가요? [플라즈마 진단 심포지움 및 PSES-net] [2] 1672
527 I-V characteristic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전자전류의 해석] [1] 1675
526 플라즈마 챔버 [화학반응 및 내열조건] [2] 1685
525 Langmuir probe의 위치에 관한 질문입니다. [전자 소실 및 플라즈마 전위] [3] 1687
524 Plasma 발생영역에 관한 질문 [Plasma sheath의 형성과정] [2] 1708
523 O2 plasma etching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Global model] [1] 1709
522 low pressure영역에서 아킹이 더 쉽게 발생하는 이유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파센 커브와 글로우 방전] [1] 1729
521 rf chamber 내에 생기는 byproduct에 대한 질문 있습니다. [Byproduct와 gas flow, cleaning] [1] 1734
520 플라즈마 rotational temperature에 관해서 질문드릴게 있습니다. [플라즈마 토치에서의 Rotational temperature] [1] 1735
519 Impedence 위상관련 문의 [Circuit model, matching] [1] 1741
518 RPSC 시 Pressure와 Throttle Valve Position의 관계 [Plasma cleaning] [1] file 1749
517 MATCHER 발열 문제 [Mathcer와 plasma impedance] [3] 1756
516 Depo시 RF 초기 Reflect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Matcher의 알고리즘] [1] 1759
515 CVD 막질의 성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챔버 벽면 성질 및 가스 손실] [1] 1763
514 ESC Polymer cracking 제거를 위한 ISD 공정 문의 1776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