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플라즈마 내에서의 현상
2016.06.08 00:50
플라즈마 안에서는 원자들끼리 (비)탄성충돌이 발생하거나 그로 인해서 재결합이나 전하 이동, 여기, 이온화, 이완, 분리 같은 현상들이 발생하는 것으로 아는데 이런 현상들이 플라즈마의 유동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플라즈마 난류 시뮬레이션에 이런 현상들이 반영되는지도 궁금합니다. 특수한 상황에서는 고전적인 MHD로 플라즈마 유동을 설명할 수 없다고 하던데 그런 것들이 플라즈마 내에서 발생하는 현상들과 관련이 있는 것인지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20] | 75427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163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479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557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9368 |
76 | 질문이 몇가지 있읍니다. [1] | 19155 |
75 | 플라즈마에 관하여... | 18931 |
74 | 주변의 플라즈마에 대하여 | 18633 |
73 | 플라즈마을 막는 옷의 소재는? | 18525 |
72 | 핵융합 발전에서는 폐기물이 않나오는 .... | 18504 |
71 | 형광등에서 일어나는 물리적인 현상 | 18500 |
70 | 질문 있습니다. [1] | 18352 |
69 | PDP 에 대해서.. | 18288 |
68 |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플라즈마 | 18281 |
67 | 마그네트론관 또는 그외반도체소자로 물을 고열증발가능? | 18176 |
66 | 플라즈마와 사용되는 기체선택 | 18126 |
65 | 진로상담 | 18106 |
64 | 플라즈마의 정의 | 18002 |
63 | 플라즈마를 알기위해서는 어떤것을 알아두는 것이 좋.. | 17992 |
62 | TMP에 대해 다시 질문 드립니다. | 17959 |
61 | QMA에서 electron beam의 generation 과정 [1] | 17784 |
60 | Plasma Gas의 차이점 [1] | 17763 |
59 | 불꽃이 쫒아오는 이유 | 17602 |
58 |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상호작용 | 17577 |
57 | Light flower bulb | 17062 |
좋은 질문이며, 기본적으로 생각이 옳습니다. Neo-classical transport theory에 대해서 좀 더 자료를 찾아 보면 지금 공부에 도움이 되겠으며, 전공하시는 분이 국내에서 여러분 계십니다. 저희 학과, 대구대학, 숭실대 물리과에도 계시니 찾아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울러 이 문제는 KSTAR 홈페이지에서 질문해 보아도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