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 텅스텐 Etch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2021.10.22 11:47
안녕하세요.
반도체 제조회사에 재직중인 엔지니어입니다.
텅스텐(W) Etch 을 하고자 하는데,
SF6를 Main Gas로 사용하고자 하는데,
SF6이외에 O2,N2,Ar 을 혼합하여 사용한 논문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텅스텐 하부에는 TiN Silicide Layer가 있는데
해당 TiN Silicide 에 Damage를 적게 주고 Loading Effect 가 적은 조건에서 Etch을 하면서
Etchrate 를 높이기 위해서는
SF6+N2 / SF6+Ar 중에 어떤 Gas 조건이 더 효과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식각시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01] | 3648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5342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0578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2996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2] | 82130 |
649 |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1] | 274 |
648 |
염소발생 전기분해 시 스파크 발생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 | 275 |
647 | 자외선 세기와 결합에너지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 275 |
646 | Massbalance equation 에서 P(t) 유도과정 | 283 |
645 |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1] | 286 |
644 | 플라즈마 샘플 위치 헷갈림 [1] | 292 |
643 |
입자에너지에따른 궤도전자와 핵의 에너지loss rate
![]() | 313 |
642 | 크룩수의 음극선도 플라즈마의 현상인가요? [1] | 323 |
641 | magnetic substrate와 플라즈마 거동 [3] | 323 |
640 | 플라즈마를 통한 정전기 제거관련. [1] | 329 |
639 | etch defect 관련 질문드립니다 [1] | 329 |
638 | 잔류시간 Residence Time에 대해 [1] | 334 |
637 | 수중방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 337 |
636 | CF3의 wavelength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1] | 337 |
635 | PDP 방전갭에 따른 휘도에 관해 질문드려요 [1] | 338 |
634 | Plasma에 의한 분해 및 치환 반응(질문) [1] | 340 |
633 | ICP 대기압 플라즈마 분석 [1] | 341 |
632 | ESC Polymer cracking 제거를 위한 ISD 공정 문의 | 344 |
631 | glass에 air plasma 후 반응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 346 |
630 |
플라즈마 세정 장비 (CCP구조)에서 자재 로딩 수에 따른 플라즈마 효과 및 Discolor
[1] ![]() | 346 |
metal 쪽 식각 공정에서 표면 화학 반응에 대해서는 성균관대학교 염근영교수님 연구실을 추천합니다.
먼저 플라즈마 생성 관점에서 보면 SF6 플라즈는 음이온 생성으로 플라즈마 생성이 어려운데, Ar 등은 Ar* (여기 아르곤)형성으로 플라즈마 만들기가 수월합니다. 반면 N2 는 N 과 N으로 나누어지고 이온화가 이뤄지는 반응이 커서 플라즈마 생성에 에너지가 많이 들어갑니다.
따라서 플라즈마 생성 관점에는 Ar 사용이 좋겠고, 표면에서 반응은 Ar이 질량이 커서 sputtering etching 효과도 N 보다 나을 것 같습니다. 여기서 한가지 더 생각할 점은 Ar은 W과 결합하지 않습니다. 불활성 가스이지요. 하지만 N는 W-N 박막을 만들 수 있고, 이는 film 형성으로 식각률이 떨어질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