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크룩수의 음극선도 플라즈마의 현상인가요?
2017.03.29 22:26
플라즈마는 기본적으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아르곤 등의 비활성 기체를 넣어줘서, 이 비활성 기체가 전기장에 의해 방전되어서
이온화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크룩스의 음극선 실험에서, 실험 조건을 보니까, 진공관에다가 양 끝 단에 전위차를 걸어주고 있습니다.
이 음극선 실험에서 관출되는 음극선 (cathode ray)를 , 플라즈마의 일종으로 봐야 할까요? 아니면
플라즈마가 아니고, 그냥 전자의 다발로 이해해야 하나요?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85] | 2291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2771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49612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1085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2] | 78327 |
639 | Al Dry Etch 후 잔류 Cl 이온 제어를 위한 후처리 방법 [1] | 237 |
638 |
염소발생 전기분해 시 스파크 발생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 | 244 |
637 | Massbalance equation 에서 P(t) 유도과정 | 246 |
636 |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1] | 247 |
635 | ICP 대기압 플라즈마 분석 [1] | 255 |
634 | CF3의 wavelength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1] | 256 |
633 | 잔류시간 Residence Time에 대해 [1] | 256 |
632 | ESC Polymer cracking 제거를 위한 ISD 공정 문의 | 258 |
631 | 플라즈마를 통한 정전기 제거관련. [1] | 263 |
630 | 텅스텐 Etch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 270 |
629 | 플라즈마 이용 metal residue 제거방법 문의드립니다. [1] | 279 |
628 |
입자에너지에따른 궤도전자와 핵의 에너지loss rate
![]() | 283 |
627 | Matcher 구성에 따른 챔버 임피던스 영향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 | 285 |
626 | magnetic substrate와 플라즈마 거동 [3] | 289 |
625 | 라디컬의 재결합 방지 [1] | 290 |
624 | 수중방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 292 |
» | 크룩수의 음극선도 플라즈마의 현상인가요? [1] | 293 |
622 | standing wave effect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1] | 300 |
621 | Plasma Cleaning 관련 문의 [1] | 306 |
620 | plasma 형성 관계 [1] | 306 |
플라즈마라는 조건으로 이해되기 위해서는 전자/이온의 밀도, 즉 플라즈마 밀도가 매우 크고 전자와 이온이 거의 같은 밀도 크기를 가져 준중성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전기장을 차폐하는 길이인 디바이 차폐 길이가 매우짧은 조건과 함께 플라즈마의 진동수는 충돌수에 비해서 커서 충돌로 인해 플라즈마 특성이 변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 조건 하에서 플라즈마의 성질을 논의하여야 이후 현상에 대한 이해가 수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