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

우주에서 플라즈마는 몇 %나 되는지요?

답변 ::

전 우주를 대상으로 생각하면 우주는 약 99%의 플라즈마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항성/ 행성등을 제외한 공간 내는 마치 낮은 밀도의 플라즈마로 꽉 차 있는 것 같지요. 이 플라즈마가 지구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극 지방에서는 오로라를 형성하기도 합니다 (우리가 우주 플라즈마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현상입니다). 오로라는 우주에서의 플라즈마 내의 하전 입자들이
지자기장에 의해 구속되며 지구표면으로 입사하기 시작하면서 계단형의 전위 분포를 갖은 multilayer을
통과하면 그 계단 단위의 전위차이에 상응하는 빛 에너지가 방출되는 현상입니다. 이 부분에 관심있는 분들은
Double layer라는 key word로 조사하여 보기 바랍니다. 아무튼 우주의 물질이 플라즈마 상태를 유지
하고 있음은 우주의 생성 혹은 별의 생성, 태양의 생성과 지구등의 생성등과 관련이 있는 내용이 될 것
입니다. 즉 수소 핵들의 결합으로 무거운 핵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그 자체로 핵융합 반응의 연속입니다.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플라즈마 상태가 요구되고..... 자 우주의 99%가 플라즈마 상태를
띠고 있다는 사실이 무었을 의미할까요?

지상에서는 플라즈마 상태를 유지하기 힘듦니다. 따라서 대부분은 용기 내에 가두어 두고 있습니다.
이를 반응로라 이야기하며 우리는 플라즈마 상태를 이용해서 물질의 표면을 처리하기도 합니다. (옆의 한국
과학기술연구원 web site 참고) 또한 위의 핵융합 반응을 이용하여 열에너지를 얻고 이로부터 전기에너지를 만들어 쓰고자 하는 핵융합
발전소를 꿈꾸며 연구하고 있기도 합니다. (옆에 있는 기초과학기술연구원 web site 참조)..이런 관점으로
지상에서는 플라즈마 연구가 진행되고 있기도 합니다.

교재 Introduction to Plasma Physics and Controlled Fusion - F. F. Chen 을 참고하세요.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3] 103379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719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543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525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968
434 플라즈마 실험을 하고 싶은 한 고등학생입니다. [Experiment와 KFE] [1] 2673
433 교수님 안녕하세요, icp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Self bias 및 ICP E/H mode] [2] 2692
432 RPG Clean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라디컬 측정 방법 및 세정 기술] [2] 2695
431 플라즈마볼 제작시 [전기장 형성 및 플라즈마 방전] [1] file 2704
430 etch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충돌 현상 및 이온화 과정] [1] 2706
429 PECVD 증착시 온도, 기판의 종류의 영향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PECVD와 PACVD] [1] 2708
428 sputtering gas에 따른 플라즈마 데미지 [Sputter와 sheath, flux] [1] 2720
427 CCP에서 전극에 쌓이는 막질에 의한 Capacitance 변화가 궁금합니다. [플라즈마 특성변화와 SH impedance 변화] [1] 2733
426 Etch 공정(PE mode) Vpp 변동 관련. [Self bias 형성 과정과 전자의 에너지] [1] 2744
425 안녕하세요. 교수님 ICP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충돌 단면적 및 반응 계수] [2] 2778
424 Etch 공정 Dummy 사용이유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ESC coating와 dummy load] [1] 2779
423 doping type에 따른 ER 차이 [MD 시뮬레이션 연구] [1] 2785
422 CCP plasma에서 gap과 Pressure간의 상관관계 [Paschen's Law, P-d 방전 곡선] [1] 2805
421 LF Power에의한 Ion Bombardment [플라즈마 장비 물리] [2] 2814
420 Dry etch 할 때 센터와 사이드 etch rate [Plasma diffusion과 distribution] [1] 2814
419 플라즈마 입자 운동 원리(전자기장에서) [Lorentz force와 magnetic confinement] [1] 2815
418 산소 양이온의 금속 전극 충돌 현상 [플라즈마 표면 반응] [1] 2816
417 임피던스 실수부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플라즈마 dielectric property] [4] 2818
416 RPS를 이용한 SIO2 에칭 [Etch와 remote plasma] [1] 2829
415 RF PLASMA를 사용한 J.R ESC DECHUCK에 대하여 문의드립니다. [Ionization과 chucking] [1] 283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