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실험을 하는 도중에 플라즈마가 생기는 과정을 목격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플라즈마에 대해 여러가지 조사를 해보았는 데, 별다른 정보를 얻을 수 없어서 질문 해봅니다.

1. 공기 중에서 플라즈마가 생기는 메커니즘이 자세하게 어떻게 되나요??

2.  플라즈마가 양극에서 먼저 생기고 음극쪽으로 다가가는 현상이 나타나는 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3. 플라즈마가 한 쪽 전극으로 끌려가는 현상이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끌려가는 과정도 알고 싶습니다.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64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62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363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4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755
393 [RIE] reactice, non-reactice ion의 역할 [Dissociation과 Ar plasma] [1] 3203
392 HF/F2와 silica 글래스 에칭율 자료가 있을까요? 3213
391 HF+LF 사용 중. HF Power 증가 시 Depostion Rate 감소 현상 문의 [전자의 에너지와 중성입자와의 충돌] [1] 3227
390 아르곤이나 기타 플라즈마 토치에 소량의 수증기를 집어넣으면 온도가 떨어지는 현상에 대해서 3237
389 RF/LF에 따른 CVD 막질 UNIFORMITY [LF와 Sheath] [1] 3253
388 수소 플라즈마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MFC와 H2 gas retention] [3] 3292
387 임피던스 매칭회로 [전기공학 회로 이론 및 impedance matching] [1] file 3345
386 PE 모드와 RIE 모드에서 쉬스 구역에 대한 질문 [전극 표면 전위] [1] 3360
385 VI sensor를 활용한 진단 방법 [Monitoring과 target] [2] 3384
384 Plasma 에칭 후 정전기 처리 [표면 전위 생성 및 방전] [3] 3385
383 M/W, RF의 Plasma에 의한 Ashing 관련 문의드립니다. [DC 글로우 방전 및 Breakdown] [1] 3541
382 PP & PET 친수성과 접착성 유지 질문입니다. [소수/친수성 조절 연구] [1] 3583
381 Plasma etcher particle 원인 [Particle issue와 wafer의 sheath] [1] 3585
380 Etcher Chamber Wall에 의도적으로 Polymer를 증착시키고 싶습니다. [ONO 공정 중 질화막 모니터링] [2] 3615
379 Gas flow rate에 따른 etch rate의 변화가 궁금합니다. [Flow rate와 moral ratio, resident time] [1] 3731
378 matcher, ESC, Heater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회로 모델 및 부품 impedance] [3] 3740
377 코로나 방전의 속도에 관하여 [코로나 방전의 이해] [1] 3741
376 electron energy distribution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Maxwallian EEDF] [2] 3743
375 방전에서의 재질 질문입니다. [방전과 전압] [1] 3789
374 Etching 공정 중 wafer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Ring관련 [Sheath 전위 형성] [3] 3827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