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대학교에서 플라즈마 응용 박막에 대해 연구하는 학생입니다..
>
>궁금한게 있어서요~
>
>현재 저희 장비의 2차 펌프는 T.M.P입니다.
>
>음~ 저희는 장비 실험이 끝나고 TMP를 냉각의 이유로 3시간동안~ OFF Time을 주고  전원을 내립니다..
>
>항상 의문이였거든요~ 꼭 3시간동안 장비를 켜놔야하나?  
>
>칠러나 장비가 장동하는데~ 소음이 심하다라는게 거슬리고
>
>또  TMP를 냉각하는 3시간동안 저의 시간이 자유롭지 못 한것도  하나의 이유이구요!
>
>
>
>그래서 한번은  TMP를 분리해 보았습니다..
>근데 통신케이블 과 전원 케이블  ,냉각수 라인 밖에 없더군요...
>
>
> 진공을 해제할때 TMP 스위치를 내리는데~ 그러면 TMP전원은  들어오지 않죠~
>당연히 데이터 이동도 필요없고 그져 냉각수만 돌려주면 될껏같은데
>
>결론으로 제 생각은요~ 냉각수 1시간만 돌려도 ,TMP는 차가워지는걸 알수잇는데~~
>
>오일확산펌프처럼 손으로 만져서 차가워지면 꺼도 되나요??
>
>아니면 냉각이 아닌 어떤 다른 이유가 있나요??
>
>궁금해 죽겟습니다... 도와주세요
================================================================
질문하신 내용을 제가 이해한 정도로 답변드립니다. 진공 기술 관련 실무적인 내용을 공부하실려면 "홍릉출판사, 진공기술실무"를 참고하십시오.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TMP를 2차 펌프라고 하신 부분
2. TMP를 냉각
3. TMP 정지
4. 그러면 얼마나 기다려야 할까요 ?
5. Oil Diffusion pump(오일 확산 펌프)


1. TMP를 2차 펌프라고 하신 부분 : 통상 chamber 가까운 쪽 부터(일반적으로 고진공 펌프) 1차 펌프라고 하고 고진공 펌프(TMP, diffusion, cryo)를 2차 펌프라고 합니다.

2. TMP를 냉각 : 위 내용으로 보아서 TMP가 수냉식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왜 굳이 3시간씩이나 냉각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TMP를 냉각하는 이유는 펌프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축열로 인하여 전장품이 손상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특정한 부위(모델마다 약간 씩 다름)를 냉각하여 하고, 또 다른 이유는 기체를 압축하면 발생하는 압축열에 의해 기체 분자의 온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기체 분자의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렇게 기체 분자가 갖고 있는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면 TMP 입장(모든 진공 펌프 입장)에서 배기하기가 힘들어집니다. 그래서 냉각을 합니다. TMP가 과도하게 가열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면 이 내용은 TMP를 정지시키는 것과는 무관합니다.

3. TMP 정지 : TMP는 고속으로 수 천 ~ 수만 rpm으로 회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TMP의 전원 스위치를 내린다고 해서 2차 펌프(rotary, dry pump 등) 처럼 바로 정지하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서 전원 스위치를 내린 이후에도 TMP housing(stator) 내부에서는 rotor가 계속 회전하고 있습니다. 이 rotor가 완전히 정지하기 전까지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다리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여전히 회전하고 있는 rotor에 생길 수 있는 문제(충격, 진공 파괴, 진동 등 여러 가지 요인)로 인하여 rotor 파손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즉, 고속 회전하고 있는 rotor가 stator와 접촉하게 되면 rotor와 stator가 완전히 파손될 수도 있습니다. 심한 경우 chamber 내부도 손상받을 수 있습니다.

4. 그러면 얼마나 기다려야 할까요 ? 정답은 rotor가 완전히 정지할 때 까지 입니다. TMP controller 상에 아마도 회전수(rpm)가 display 될 겁니다. 그때까지는 기다리셔야 합니다. 학교에서 비싼 TMP 고장내면 안되잖습니까 ? 지도 교수님뿐만 아니라 장비를 같이 사용하는 동료들에게도 민폐고 ...

5. Oil diffusion pump(오일 확산 펌프)
아시는 것 처럼 오일 확산 펌프는 장착된 heater를 이용하여 오일을 가열하여 고속의 증기를 만들어 배기하는 방식입니다. Mechanism상 nozzle에서 방출된 오일 증기가 배기 기능을 한 후에 내부 벽에 붙게 되고 이 오일이 다시 heater 쪽으로 이동하기 쉽게(기화되어 chamber 쪽으로 가지 않게)하기 위해 벽면을 냉각합니다. 실험이 끝나면 가열된 오일이 공기와 접해서 산화되고 성질이 변하는 것을 막기 위해 당연히 냉각을 통해 오일을 적정 온도 이하로 내려 주어야 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3207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99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497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508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922
373 코로나 전류에 따른 발생되는 이온의 수와, 하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Corona breakdown, current density] [1] 1012
372 SiO2를 Etching 할 시 NF3 단독 보다 O2를 1:1로 섞을시 Etching이 잘되는 이유 [ER과 energy transport] [1] file 7028
371 플라즈마 압력에 대하여 [Glow discharge와 light] [1] 2967
370 RF plasma 증착 시 arcing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Arc와 cleaning] [1] 4060
369 활성이온 측정 방법 [한국 기계 연구소 송영훈 박사팀] [1] 799
368 rf chamber 내에 생기는 byproduct에 대한 질문 있습니다. [Byproduct와 gas flow, cleaning] [1] 1738
367 Etch 공정 Dummy 사용이유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ESC coating와 dummy load] [1] 2771
366 ICP와 CCP에서의 Breakdown voltage [Breakdown과 E-H transition] [1] 2143
365 sputtering gas에 따른 플라즈마 데미지 [Sputter와 sheath, flux] [1] 2712
364 Remote Plasma가 가능한 이온 [Remote plasma와 diffusion] [1] 2620
363 CVD CCP/ICP 사용간 Wafet Bias volt 줄어듬 현상 문의드려요 [Wafer bias와 chuck cap] [1] 2134
362 DBD Plasma Actuator 원리에 대한 질문입니다. [DBD와 "industrial plasma engineering"] [1] 1178
361 안녕하세요 텅스텐 에치에 대해 질문드리겠습니다. 1301
360 플라즈마에서 가속 전압 또는 RF 파워 관련 질문드려요 [RF power와 power factor] [1] 1664
359 DC bias (Self bias) ["Glow discharge processes"] [3] 11963
358 ICP와 CCP의 차이 [Self bias와 Maxwellian distribution] [3] 13094
357 새집 증후군 없애는 플러스미- 플라즈마에 대해서 [광운대 플라즈마바이오연구센터] [1] 1080
356 RF FREUNCY와 D/R 과의 상관 관계에 관한 질문입니다. [CCP와 ionization] [1] 2250
355 Ion Energy와 RF matchin관련 질문입니다. [Self bias와 matcher] [1] 9797
354 수소 플라즈마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MFC와 H2 gas retention] [3] 3314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