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

저 있잖아여. 수소 폭탄은 3중수소가 헬륨이 되면서 에너지를 발산하자나여. 3중수소가 헬륨보다 무거우니까여. 근데 헬륨이 3중수소가 되면 에너지를 흡입할것 아니에여? 수소폭탄만한 에너지로여. 이걸로 에너지를 빨아들여서 태풍같은것을 무마시킬수 있지 않을까요? 저는 괭장히 궁금하거든여. 꼭 알려주세여. 그리고 저는 6학년이니까 최대한 쉽게 알려주시면 좋겠네여

답변 ::

좋은 질문입니다. 답변을 잘 해 줄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왼쪽에 보면 관련 사이트 찾기난이 있지요. 그곳에서 찾거나 아랫쪽에
기초과학연구원이란 곳을 클릭해서 기초과학 연구원을 방문해 보기
바랍니다. 이곳은 핵융합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기관이며 학생의
질문과 같은 내용에 대해서 여러분의 박사님들이 연구를 열심히
하고 있는 곳입니다. 꼭 방문해서 질문해 보기 바랍니다.

방문과 아울러 핵융합에 대한 설명이 이곳에서도 여러번 했으니 관련
답변을 찾아 보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참고로 에너지를 얻고자 하는
핵융합 과정에서 중수소 두개를 융합하기 위해서 중수소를 그냥 놓아
둔다고 두 입자가 융합하는 것은 아니예요. 두 입자를 붙치기 위해서는
처음에 두개의 입자에 에너지를 가해서 융합을 하게 만들지요. 입자가
융합되면서 나오는 에너지가 들어간 에너지 보다 큰 경우 우리는
핵융합으로 에너지를 얻었다고 할 수 있지요. 마치 수입보다 지출이
많으면 빚을 지고 벌었다고 할 수 없듯이.
핵융합과 반대의 경우를 가정했는데 헬륨을 부수기 위해서도 에너지가 필요해요. 하지만 무게가 작은 헬륨과 같은 입자는 부수어서 나오는
에너지가 들어간 에너지 보다 크지 못해 우리가 빚을 진 것과 같은 결과 밖에 얻을 수 없어요.  이런 경우를 핵 분열이라고 하는데 핵분열에서,
즉 부수어서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얻으려면 부수기 위해서 들어가는 에너지가 작아야 되고 그런 대상은 무게가 큰 입자들이 대상이 되지요.
특히 우라늄 238 혹은 플루토늄 239등이 그 대상입니다. 이는 주기율표에서 보면 가장 무거운원소에 해당합니다. 이들은 너무 무거워 자신을
주체하기 힘들 정도예요.그래서 툭 건드리면 부서지지요. 마치 물은 꽉채운 풍선, 혹은 바람이  꽉 찬 풍선을 상상하면 그런 풍선을 슬쩍
건드리면 터지듯이 쉽게 부서지는 입자를 씁니다. 이 과정을 핵 분열이라 하고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원자력 발전소의 동작 원리이기도 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314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9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484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50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910
273 ETCH 관련 RF MATCHING중 REF 현상에 대한 질문입니다. [플라즈마 응답 특성] [1] 7557
272 플라즈마 건식식각 장비 부품 정전척 공정 진행 후 외각 He-hole 부위 burning 현상 매커니즘 문의.. [플라즈마 leak와 국부방전] [1] 6783
271 ICP 구성에서 PLASMA IGNITON시 문의 [ICP와 플라즈마 발생] [1] 10472
270 액체 안에서의 Dielectric Barrier Discharge에 관하여 질문 드립니다! [플라즈마 발생 방식과 성질] [1] 6578
269 Remote Plasma에서 Baffle 재질에 따른 Plasma 특성 차이 [플라즈마의 유지와 쉬스] [1] 10766
268 저온플라즈마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ㅠ [1] 6675
267 공동형 플라즈마에서 구리 전극의 식각 문제 [공동형 토치의 운전법 및 방전특성이해] [2] 6586
266 RF & DC sputtering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RF& DC bias와 matcher의 접지] [1] 9475
265 Sheath와 Darkspace에 대한 질문입니다. [쉬스와 Bulk Plasma 영역] [1] 9203
264 플라즈마 데미지에 관하여.. [Charge의 축적과 damage] [1] 6752
263 VPP,VDC 어떤 FACTOR인지 알고 싶습니다. [Vpp, Vdc와 플라즈마 발생 원리] [1] 55974
262 수중 플라즈마에 대해 [수중 플라즈마의 화학 반응 현상] [1] 9154
261 [기초]CCP Type에서의 Self-Bias(-Vdc)+Vp(plasma potential)관련 질문입니다. [플라즈마 전위와 쉬스] [1] 13159
260 상압 플라즈마에 관하여 문의 드립니다. [DBD와 플라즈마 방전 메커니즘] [1] 8381
259 플라즈마에 하나도 모르는 완전초보입니다.. 도와주십시오 ㅠㅠ [플라즈마의 진공과 가스 주입] [1] 10346
258 고온 플라즈마 관련 8160
257 안녕하세요 교수님. [2차 전자 방출 메커니즘] [1] 9557
256 Lecture를 들을 수 없나요? [1] 8749
255 플라즈마가 생기는 메커니즘에 대한 질문입니다. [플라즈마 형성 과정과 파센의 법칙] [1] 13776
254 MFP에 대해서.. [Collisional cross section] [1] 8088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