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sition 박막 형성 [ICP와 MOCVD]
2004.06.21 15:10
박막 형성
ICP장치에 관해서는 참고서적을 이용하시고 sputter(본란에서 설명을 하였습니다. 참고하기 바랍니다.)를 이용하여 상온 target에
박막을 형성시키는 것은 가능합니다. 입히고자 하는 박막이나 시편의 성질에 따라서 시편의 온도를 조절해야 함은 당연할 것 입니다.
적절한 온도에서 박막이 잘 성장하게 되며 이에 대해서도 이미 설명드린 바가 있습니다. 한가지 더 고려해야 할 것은 금속 박막
성장을 위한 방법으로 MOCVD방법이 있으니 이를 공부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MOCVD는 sputter로 가능하지 않은 금속 물질등
의 박막 성장에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ICP에 관한 자료는 일단 다음 교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1. M.A. Lieberman & A.J.Lichtenberg "Principles of plasma discharges and material processing (1994,Jhon Wiley & Sons.Inc)
2. J.R.Roth, "Industrial Plasma Engineering : Vol.1 Principles" (1995, Institute of Physics Publishing)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3] | 103409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24722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61548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73527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105980 |
154 | 플라즈마 응용분야 | 17981 |
153 | 교육 기관 문의 | 17843 |
152 | [re] H2/O2 혼합 플라즈마에 관련 질문 입니다. | 17296 |
151 | ICP 식각에 대하여… [Electronegative plasma] | 17109 |
150 | 플라즈마 처리 [표면처리와 Plasma Chemistry] | 17060 |
149 | sputter | 16988 |
148 | nodule의 형성원인 | 16925 |
147 | 몇가지 질문있습니다 | 16646 |
146 | Ar traction에 따른 Plasma 특성 질문입니다. [Chamber wall과 radical reaction] [1] | 16118 |
145 | Sputter | 16114 |
144 |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표면개질에 관해 [1] | 15878 |
» | 박막 형성 [ICP와 MOCVD] | 15390 |
142 | 산업용 플라즈마 내에서 particle의 형성 | 15190 |
141 | 플라즈마 절단기에서 발생 플라즈마 | 14917 |
140 | ICP와 CCP의 차이 [Self bias와 Maxwellian distribution] [3] | 13108 |
139 | N2, Ar Plasma Treatment 질문입니다. [쉬스 전위 및 플라즈마 세정] [1] | 12491 |
138 | 미국의 RF 관련 회사 문의드립니다. [플라즈마트 및 휘팅커 회사] [1] | 10710 |
137 | 에칭후 particle에서 발생하는 현상 | 9858 |
136 | 공기정화기, 표면개질, PDP. 플라즈마응용 | 9340 |
135 | Ar Gas 량에 따른 Deposition Rate 변화 [Depo radical 형성 및 sputtering] [1] | 90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