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eath self Bias voltage [Self bias와 mobility]

2004.06.21 15:46

관리자 조회 수:24400 추천:275

질문 ::

안녕하십니까?  교수님.
이 사이트를 통해서 Plasma에 대해서 많은 학습을 하고있습니다.

요즘 RF 및 Plasma에 대해서 학습하고 있는데, 한가지 궁금한 사항이
있어서 메일드립니다.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질문사항은요, ICP Source(450KHz)를 사용한다음 하부에 13.56MHz의
RF Bia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여기에서 Bias에 대한 원리 및
적용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답변 ::

질문은 self bias에 관한 사항입니다.
self bias는 플라즈마를 구성하고 있는 같은 전하량을 갖고 있는 전자와 이온의 질량차이에 의해서 생깁니다.
전자와 이온의 질량차이는 매우 커서 같은 전기장하에서도 전자는 쉽게 가속되어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반면
이온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속도를 갖을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전자는 이온에 비해 인가되는 전기장을
따라서 쉽게 움직이게 됩니다. 이를 전자의 유동도가 이온의 유동도에 비해 매우 크다고 합니다.

만일 부도체 혹은 capacitor로 block되어 있는 substrate에 rf  전기장이 인가되고 이 substrate가
플라즈마와 접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합시다. 이 경우를 단순화 하여 단지 capacitor의 한 쪽극 (A)이
플라즈마와 접하고 다른 전극(B)에는 rf power가 인가되었다면 B에 인가되는 power에 따라서 A극에는
180위상차이를 갖는 전위가 만들어지게 될 것 입니다. 이 전위가 +값을 갖으면 전가가 전극의 표면으로
들어오게 될 것이고 -값을 갖게되면 이온이 들어오게 될 것 입니다. 이 구조를 자세히 들여다 보면 capacitor에
의해 회로가 단락되어 있음으로 직류 전류는 흐르지 않음으로 들어오는 전하는 쌓이고 총 전류의 합, 즉 이온전류와
전자전류의 합은 O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전자의 유동도가 이온의 유동도에 비해서 매우 크기 때문에
A전극 표면에는 음전하가 상대적으로 많이 쌓이게 되어 표면의 전위는 자연히 본래의 전위에 비해서 낮아지게 됩니다.
이렇게 낮아지는 전위는 전극으로 들어오는 전자의 양과 속도를 곱한 값과 이온의 양과 속도를 곱한 값이 같은 조건을
만족시켜 net current (총 전류의 합)이 O이 될 때까지 진행됩니다. 즉, 전극이 음으로 낮아지면 들어오는 전자의 양이
점차 줄어들게 되며 속도도 떨어지게 되며 상대적으로 양전하의 경우는 속도가 증가하여 무거워서 빠르지 못한
이온을 가속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전극의 표면전위가 제 스스로 낮아졌다고 해서 self bias라 합니다.  
전극 표면에는 전자가 갖고온 음전하가 쌓이게 될 것 입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651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65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369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4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758
233 궁금합니다 [입자 속도에 따른 충돌 단면적과 mean free path] [1] 16361
232 플라즈마로 처리가 어떻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수중방전의 heating source] [1] 16375
231 플라즈마의 어원 [Langmuir] 16459
230 궁금해서요 16491
229 CCP의 electrod 재질 혼동 [PECVD와 화학물 코팅] 16646
228 몇가지 질문있습니다 16646
227 nodule의 형성원인 16918
226 sputter 16980
225 Virtual Matching [Impedance matching] 16988
224 플라즈마 처리 [표면처리와 Plasma Chemistry] 17048
223 좁은 간격 CCP 전원의 플라즈마 분포 논문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전력 인가와 플라즈마 밀도] [2] 17048
222 ICP 식각에 대하여… [Electronegative plasma] 17102
221 형광등으로 부터 플라즈마의 의해 [Filament, Sputtering] 17104
220 Light flower bulb 17170
219 RF에 대하여,, [Pierson coil과 V-I probe] 17182
218 플라즈마를 이용한 발광시스템에 관한 연구 [Plasma lamp] 17190
217 ESC Chuck Pit 현상관련 문의 드립니다. file 17229
216 PSM을 이용한 Radical 측정 방법 [이온화 전자 전류의 증가] file 17238
215 [re] H2/O2 혼합 플라즈마에 관련 질문 입니다. 17295
214 Electrode의 역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이차전자의 방출과 스퍼터링] 17504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