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호서대학교 에너지공학과 재학중인 강병우라고 합니다.

스퍼터링을 공부하다가, 플라즈마에 대해 궁금한게 생겨서 질의 드립니다.

 "플라즈마 구 예시"(링크)

 

플라즈마 구의 경우, 중심부에 음극을 위치시키고, 구 안에 비활성기체를 넣어주고, 고전압을 걸어주면 방전현상이 일어나게 된다까지는 이해가 됩니다.

 

그런데, 스퍼터링의 경우에는 음극과 양극이 위치하고 있어서, 방전으로 인해 생긴 전자가 양극을 통해 흘러서 전자의 흐름이 발생할 것입니다. 스퍼터링 기구 안에서의  전자의 흐름으로 인해 전자기파도 발생하고, 전자가 다른 입자에 부딪혀 여기시키면서 한번더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플라즈마가 빛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플라즈마구의 경우에 따로 양극이 없고 유리로 둘러쌓여있는데, 이 전자가 흘러나갈 수 있는 통로가 있나요?

 

 

손가락을 갖다 대거나 하면, 빛이 손가락 쪽을 향하는데, 그럼 이 플라즈마로 보이는 빛, 즉 전자가 유리를 뚫고, 손가락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인가요?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832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83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408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73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820
233 Self bias 내용 질문입니다. [쉬스와 표면 전위] [1] 1264
232 플라즈마 이용 metal residue 제거방법 문의드립니다. [세정 공정 개발] [1] 1259
231 ICP Dry Etch 진행시 정전기 발생에 관한 질문입니다. [국부 전기장 형성 및 edge 세정] [1] 1251
230 반도체 METAL ETCH시 CH4 GAS의 역할 [플라즈마 식각기술] [1] 1246
229 자기 거울에 관하여 1246
228 상압플라즈마 제품 원리 질문드립니다 [I-V characteristic 방전 커브] [2] 1240
227 플라즈마 코팅 [The Materials Science of Thin Films] [1] 1236
226 플라즈마를 이용한 오존 발생기 개발 문의 件 [오존발생기] [1] 1235
225 주파수 증가시 플라즈마 밀도 증가 [ICP, CCP 플라즈마 heating] [1] 1234
224 PECVD Uniformity [플라즈마 균일도 제어] [1] 1232
223 Plasma Reflect를 관리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임피던스 매칭] [1] 1227
222 RF tune position과 Vms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Chamber component, Matcher] [1] 1224
221 O2 Asher o-ring 문의드립니다. [Plasma heat와 dissociation] [1] 1223
» 플라즈마 구에서 나타나는 현상이 궁금합니다. [Breakdown condition 및 Paschen's law] [1] 1215
219 O2 Plasma 에칭 실험이요 [1] 1214
218 Si Wafer에 Plasma를 처리했을때 정전기 발생 [Particle 관리] [1] 1212
217 Tungsten 표면 Contamination 제거(실명재등록) [Atmostpheric pressure plasma jet] [1] 1206
216 RF MATCHING관련 교재 추천 부탁드립니다. [플라즈마 Impedance와 matching 설계] [1] 1202
215 교수님 질문이 있습니다. [Child-Langmuir sheath] [1] 1201
214 DC Plasma 전자 방출 메커니즘 1193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