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uttering 펄스바이어스 스퍼터링 답변

2004.06.19 16:00

관리자 조회 수:22080 추천:227

또 다시 스퍼터링에 관해서 이야기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서 반갑습니다.
유사한 경험을 저희도 가지고 있읍니다. 유리라는 절연체 위에 박막을 입힐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생각되는데,  실제 플라즈마와 닿는 표면의 전위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기판 홀더(또는 트레이)는 접지 전위이고, 절연체인 유리가 있고 그 위에 일정한 전위의 플라즈마가 있는 구조는 마치 콘덴서와 같은 구조가 됩니다. Q=C*V 의 식을 미분형으로 써서 시간에 따른 포텐셜의 변화를 계산한 것은 미국 R.P.I 그룹의 논문이 있으니 참조하십시오.(J. Vacuum Science and Technology A, 17(6), 3322 ) 저희는 이 현상을 측정하고 없애기 위한 연구를 한 적이 있읍니다. 기판에 일정한 펄스 바이어스를 인가하고 그 전압 파형의 변화를 플라즈마의 운전 조건에 따라서 구해보는 것이지요. 그러면 기판 표면에서 국부적인 방전이 생기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임계 주파수가 나옵니다. 플라즈마 공정 조건에 따라서 다르지만 공업적으로 그리 어렵지 않은 정도의 주파수대가 얻어집니다. 이 부분은 아직 저희가 정식 페이퍼 논문으로 발표를 하지 않아서 수치적으로는 언급하지는 않겠읍니다. 이번 미국진공학회때에 위의 R.P.I group에서도 와서 보더니 자기들도 저희와 같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다만 반도체에서 층간 절연막위에 알루미늄을 입힐 때의 경우를 하고 있다고 하더군요. 또하나 언급하고 싶은 것은 대개의 직류 전원이 상당한 정도의 ripple voltage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Advanced Energy의 MDX, Pinnacle 등은 100kHz switching 기술을 사용하고 ripple이 약 5% 정도 되므로 13kW=600 V* 21.7A 를 사용하신다면 30V, 100kHz의 중주파수의 전원을 걸어준 것과 같읍니다. 이는 워크맨을 진짜 건전지로 들을때와 직류어댑터로 들을때 찌--- 하는 노이즈를 분명히 들을 수 있는 것과 같은 차이 입니다. 물론 ripple을 1% 미만 심지어는 0.01%까지도 낮출 수는 있지만 그럴러면 출력단의 커패시터 용량을 키워야 하고, 만일 아크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이 커패시터에 충전된 에너지를 모두 방출해야 아크가 없어지므로 박막에 결함을 많이 초래하게 되지요. 반응성 스퍼터링에서 사용하는 pulsed dc 전원은 이 점에서 절연체위에 박막을 입히는 경우에도 일정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합니다만, 역시 기판에 일정한 주파수 이상의 교류를 가하여 쌓이는 전하를 제거함으로써 얻는 효과만을 못할 것입니다.
참고가 되셨기를 바라겠읍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907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89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430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8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841
213 RF 변화에 영향이 있는건가요? 17604
212 고온플라즈마와 저온플라즈마 [Collision과 Wall loss] 17614
211 불꽃이 쫒아오는 이유 17710
210 유전체 플라즈마 17719
209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상호작용 [Magnetic Confinement] 17779
208 교육 기관 문의 17842
207 충돌 17897
206 플라즈마에서 전자가 에너지를 어느 부분에서.. 17904
205 플라즈마 온도중 Tr의 의미 17958
204 capacitively/inductively coupled plasma [Heating mechanism과 coolant] 17962
203 플라즈마 응용분야 17977
202 Plasma Dechuck Process가 궁금합니다. 18055
201 Plasma of Bio-Medical Application 18068
200 플라즈마를 알기위해서는 어떤것을 알아두는 것이 좋.. [플라즈마 기초] 18094
199 스퍼터링 후 시편표면에 전류가 흘렀던 흔적 [Capacitance와 DC ripple] 18123
198 QMA에서 electron beam의 generation 과정 [1] 18127
197 플라즈마의 정의 18130
196 electrode gap 18151
195 Splash 발생 및 감소 방안은 없는지요? [Splash와 TG Maker] 18195
194 DBD plasma [Excitation과 Power Current] 18208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