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P CCP/ICP , E/H mode
2004.06.19 16:05
전극이 반응기 내외부에 있는 여부로 ICP/CCP 플라즈마를 구별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Capacitively coupled plasma 는 전극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전자 가속이 일어나 에너지를 얻어 이온화에 의해 만들어진 플라즈마를 의미하며 Inductively coupled plasma는 말 그대로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에서 형성된 자기장이 시간에 따라서 변할 때 자기장 주변으로 형성되는 전기장으로부터 전자가 가속 에너지를 얻고 이온화를 통해 만들어진 플라즈마를 의미하는 말로써 이해하여야 합니다. 물론 일반적인 ICP 반응기에서 CCP 현상에 의한 플라즈마 발생이 일어나기도 하며 이를 E mode 플라즈마에서의 ICP 현상에 의해 만들어진 플라즈마를 H mode 플라즈마라 구분하기도 합니다. 약간의 혼돈은 여기서 생길 수 있습니다만 두 현상을 구분해서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잘 알고 계시시겠지만 ICP 의 플라즈마 발생 mechanism 에는 E/H mode 가 있습니다. 이중 E mode는 안테나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서 안테나 면과 수직 방향에 형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전자 가속이 일어나고 (에너지를 전달하고) 이로써 플라즈마가 형성되는 과정을 의미하며 H mode는 안테나에 흐르는 시간에 따른 전류 변화에 의해서 공간 내에 형성되는 자기장으로부터 유도되는 전기장으로부터 전자가 에너지를 받아 플라즈마를 발생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H mode에서 유도되는 전기장은 theta 방향으로 원주 방향의 성분을 갖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ICP 플라즈마는 E mode 에 의해서 플라즈마가 발생되고 H mode 로 변환하면서 고 밀도 플라즈마를 발생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ICP 플라즈마는 고 밀도 플라즈마를 만들지만 여기에는 E/H mode 성분의 플라즈마가 혼재 되어 있습니다.
ICP에서 안테나와 플라즈마는 유전물질, 일반적으로 quartz에 의해서 격리되어 있는데, 발생되는 플라즈마는 안테나 근처 즉 quartz의 표면에 가속된 이온이 quartz와 충돌하게 되고 quartz에 식각현상이 심하게 나타납니다. 이러한 문제와 E mode 에 의한 플라즈마 fluctuation을 제어하기 위해서 E mode를 감쇄 하려는 노력을 faraday shield(F/S)를 통하여 합니다. 하지만 trade-off가 있는데 F/S를 하게되면 그만큼 입력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고 이는 E mode 에 의한 플라즈마 발생 영역이 줄어들게 됨을 의미하여 전반적으로 플라즈마 밀도는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를 보정 하기 위해서는 입력전력이 더 커질 수밖에 없게 되겠지요. 또 하나 유의해야할 사항은 F/S의 사용에 의해서 plasma uniformity 가 바뀔 수 있으니 이점 또한 깊이 고려하여야 할 것입니다.
잘 알고 계시시겠지만 ICP 의 플라즈마 발생 mechanism 에는 E/H mode 가 있습니다. 이중 E mode는 안테나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서 안테나 면과 수직 방향에 형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전자 가속이 일어나고 (에너지를 전달하고) 이로써 플라즈마가 형성되는 과정을 의미하며 H mode는 안테나에 흐르는 시간에 따른 전류 변화에 의해서 공간 내에 형성되는 자기장으로부터 유도되는 전기장으로부터 전자가 에너지를 받아 플라즈마를 발생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H mode에서 유도되는 전기장은 theta 방향으로 원주 방향의 성분을 갖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ICP 플라즈마는 E mode 에 의해서 플라즈마가 발생되고 H mode 로 변환하면서 고 밀도 플라즈마를 발생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ICP 플라즈마는 고 밀도 플라즈마를 만들지만 여기에는 E/H mode 성분의 플라즈마가 혼재 되어 있습니다.
ICP에서 안테나와 플라즈마는 유전물질, 일반적으로 quartz에 의해서 격리되어 있는데, 발생되는 플라즈마는 안테나 근처 즉 quartz의 표면에 가속된 이온이 quartz와 충돌하게 되고 quartz에 식각현상이 심하게 나타납니다. 이러한 문제와 E mode 에 의한 플라즈마 fluctuation을 제어하기 위해서 E mode를 감쇄 하려는 노력을 faraday shield(F/S)를 통하여 합니다. 하지만 trade-off가 있는데 F/S를 하게되면 그만큼 입력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고 이는 E mode 에 의한 플라즈마 발생 영역이 줄어들게 됨을 의미하여 전반적으로 플라즈마 밀도는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를 보정 하기 위해서는 입력전력이 더 커질 수밖에 없게 되겠지요. 또 하나 유의해야할 사항은 F/S의 사용에 의해서 plasma uniformity 가 바뀔 수 있으니 이점 또한 깊이 고려하여야 할 것입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81] | 74898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8754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234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6729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8169 |
99 | 플라즈마 실험 | 21307 |
98 | 스퍼터링시 시편두께와 박막두께 [1] | 21329 |
97 | 상압 플라즈마 관련 문의입니다. [1] | 21399 |
96 |
47th American Vacuum Society International Symposium 2000
![]() | 21401 |
95 | 대기압플라즈마를 이용한 세정장치 | 21437 |
94 | glass 기판 ICP 에서 Vdc 전압 | 21524 |
93 | manetically enhanced plasmas | 21599 |
92 | 플라즈마내의 전자 속도 [1] | 21680 |
91 | 펄스바이어스 스퍼터링 답변 | 21803 |
90 | 플라즈마의 발생과 ICP | 21834 |
89 | 플라즈마 온도 질문 + 충돌 단면적 | 21878 |
88 | 플라즈마 코팅에 관하여 | 22006 |
87 | Dry Etcher 내 reflect 현상 [2] | 22031 |
86 | Peak RF Voltage의 의미 | 22343 |
» | CCP/ICP , E/H mode | 22389 |
84 | Dry Etch장비에서 Vdc와 Etch rate관계 [1] | 22422 |
83 | Dry Etcher 에 대한 교재 [1] | 22428 |
82 | pulse plasma 측정을 위한 Langmuir probe 사용 방법 관련.. [1] | 22468 |
81 | MATCHING NETWORK 에서 BACKWARD BIAS 가 생성되는 이유가 무엇 입니까? [3] | 22482 |
80 | [질문] Plasma density 측정 방법 [1] | 225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