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 RIE 장비 사용 중 dc-bias의 감소
2022.03.24 15:39
안녕하십니까, 반도체분야에서 공부하고 있는 비전공자 학생입니다.
최근 RIE 장비로 Etching test를 진행 중 궁금한것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RIE 장비에서 Etching rate에 크게 기여하는 부분이 dc-bias라고 알고 있습니다.
가스 유량, 압력, 그리고 power 심지어 reflected power 마저도 동일한데 dc-bias만 대략 70V나오던 것이 50V로 줄어드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혹시 이러한 간간히 일어나는 건가 싶어 질문남겨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1
-
김곤호
2022.04.17 09:41
DC 바이어서 혹은 Self Bias 주제어로 검색해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Self bias는 타킷이 가진 capacitor 성질에 따라서 표면에 플라즈마 전자들의 하전량에 의해 결정되게 됩니다. 여기서 cap 성질이라면 타킷의 양면, 즉 전력이 인가되는 chuck 표면의 전위와 타킷과 사이의 간극이 갖는 축전용량과 타킷 물질의 축전용량으로 크게 구성이 될 것 같습니다. 따라서 wafer chucking 에서 큰 변화가 없고 bias 전압이 바뀌고 있다면 chucking 특성의 변화, 즉 wafer 간극의 변화에 의해 cap이 바뀐 상태가 아닌가 의심이 됩니다. 만일 간간이 이런일이 일어난다면 chucking 상태를 감시해 보는 것도 방법일 것 같고, 또는 chucking이 잘 되고 있는지의 판단 자료로서 활용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99] | 3631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5313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0569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2980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2] | 82012 |
48 | 라디컬의 재결합 방지 [1] | 364 |
47 | 핵융합 질문 [1] | 364 |
46 | 간단한 질문 몇개드립니다. [1] | 360 |
» | RIE 장비 사용 중 dc-bias의 감소 [1] | 353 |
44 | (PAP)plasma absorption probe관련 질문 [1] | 351 |
43 | MFP와 Sheath 관련하여 추가 질문 드립니다. [1] | 349 |
42 | ICP Dry Etch 진행시 정전기 발생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346 |
41 | Al Dry Etch 후 잔류 Cl 이온 제어를 위한 후처리 방법 [1] | 346 |
40 | 산소 플라즈마에 대한 질문입니다... | 346 |
39 | glass에 air plasma 후 반응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 345 |
38 | ESC Polymer cracking 제거를 위한 ISD 공정 문의 | 342 |
37 |
플라즈마 세정 장비 (CCP구조)에서 자재 로딩 수에 따른 플라즈마 효과 및 Discolor
[1] ![]() | 340 |
36 | ICP 대기압 플라즈마 분석 [1] | 339 |
35 | Plasma에 의한 분해 및 치환 반응(질문) [1] | 338 |
34 | PDP 방전갭에 따른 휘도에 관해 질문드려요 [1] | 338 |
33 | 수중방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 335 |
32 | CF3의 wavelength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1] | 333 |
31 | 잔류시간 Residence Time에 대해 [1] | 331 |
30 | 플라즈마를 통한 정전기 제거관련. [1] | 329 |
29 | etch defect 관련 질문드립니다 [1] | 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