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공정챔버에서의 아킹 및 노이즈 문제...
2009.03.20 12:36
RF에 관심이 많은 학구파 기계공학 엔지니어 입니다.
제목에서와 같이 공정챔버에서의 아킹원인과 노이즈에 관해 궁금한 것이 있어서 입니다.
우선 아킹(번개 등)의 원인이 전하차에 의해 높은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면서 생기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저희 공정챔버의 경우 기존 제품은 나름대로 양호하나, 현재 개조된 챔버에 대해서는
상당한 아킹과 노이즈를 겪고 있습니다.
우선, 개조사양은
챔버의 체적이 약 15% 커짐(고진공상태;100mTorr이하)
상부 안테나와 접하는 세라믹 순도가 99.98->99.99%로 변경(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임)
상부 안테나의 상부를 커버하는 알루미늄재질의 커버가 기존대비 약 10% 늘어남.
RF 구동 조건은
상부 13.56Mhz 약 5,000W
하부 13.56Mhz 약 7,000W
이며, 접지는 제3종 일것으로 생각됩니다.
여기서 아킹의 원인과 노이즈가 발생할 만한 것이 있을 수 있는지?
댓글 2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20] | 75427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166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480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559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9369 |
88 | 플라즈마 코팅에 관하여 | 22026 |
87 | Dry Etcher 내 reflect 현상 [2] | 22116 |
86 | Peak RF Voltage의 의미 | 22433 |
85 | Dry Etcher 에 대한 교재 [1] | 22468 |
84 | pulse plasma 측정을 위한 Langmuir probe 사용 방법 관련.. [1] | 22514 |
83 | MATCHING NETWORK 에서 BACKWARD BIAS 가 생성되는 이유가 무엇 입니까? [3] | 22515 |
82 | Dry Etch장비에서 Vdc와 Etch rate관계 [1] | 22563 |
81 | [질문] Plasma density 측정 방법 [1] | 22574 |
80 | CCP/ICP , E/H mode | 22584 |
79 | floating substrate 에서 sheath 형성 과정 의문점 [2] | 22702 |
78 | 안녕하세요. O2 Plasma 관련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 22854 |
77 | 입력전력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변화 (ICP/CCP) | 22870 |
76 | 고온플라즈마와 저온플라즈마 | 22952 |
75 | No. of antenna coil turns for ICP | 22966 |
74 | DC glow discharge | 23102 |
73 | CCP 방식에 Vdc 모니터링 궁금점. | 23157 |
72 | 광플라즈마(Photoplasma)라는 것이 있는가요? | 23181 |
71 | HVDC Current '0'으로 떨어지고, RF Bias Reflect (RF matching이 깨지는 현상) 발생 | 23218 |
70 | 플라즈마 물리학책을 읽고 싶습니다. | 23295 |
69 | Arcing | 23505 |
- 참고로, 저희 연구실의 Q and A 란은 토의의 장을 제공하는 곳 입니다. 따라서 게시판 운영 원칙에서 이미 밝혔듯이 문의자나 토론자 본명과 연락처를 말씀해 주시고 논의에 합류하시기를 부탁드리고 있습니다. 이는 보다 정확한 정보를 공유하고 신뢰를 갖기 위해서 이니, 익명의 토론은 삼가하시기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