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sma in general self bias
2023.03.13 16:58
self bias에 대한 개념을 교수님 말씀 읽고 숙지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교수님, self bias의 정의를 두 전극에 RF바이어스를 가했을 시,면적의 차이 등으로 인해 두 전극에 나타나는 전위차로 설명하는 것은 잘못된 설명인가요?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4] | 75753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439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665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999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90228 |
77 | (PAP)plasma absorption probe관련 질문 [1] | 456 |
76 | 산소 플라즈마에 대한 질문입니다... | 455 |
75 | 수중방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 454 |
74 | 반도체 METAL ETCH 시 CH4 GAS의 역할. [1] | 445 |
73 | 코로나 방전 처리 장비 문의드립니다. [1] | 443 |
72 | Tribo-Plasma 에 관해서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 442 |
» | self bias [1] | 437 |
70 | magnetic substrate와 플라즈마 거동 [3] | 436 |
69 | 자외선 세기와 결합에너지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 434 |
68 | plasma 공정 중 색변화 [1] | 431 |
67 | 플라즈마 세정처리한 PCB, Lead Frame 재활용 방법 [1] | 426 |
66 | 안녕하세요 DBD 플라즈마 소독 관련질문입니다. [1] | 426 |
65 | glass에 air plasma 후 반응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 426 |
64 | Flu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1] | 425 |
63 |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1] | 423 |
62 | Plasma Reflect를 관리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1] | 420 |
61 | 크룩수의 음극선도 플라즈마의 현상인가요? [1] | 411 |
60 |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1] | 405 |
59 | PDP 방전갭에 따른 휘도에 관해 질문드려요 [1] | 404 |
58 | N2 GAS를 이용한 Plasma에 대한 질문 [1] | 399 |
그 설명도 의미는 있어요. 이상적으로 동일한 두개의 부도체 전극에 같은 크기의 RF 바이어스가 걸리고, 플라즈마는 어떻게 해서 생겨 전극 사이에 놓여 있는 경우라면, 두개 전극에는 같은 크기와 같은 전위 크기의 쉬스가 형성되겠지요. 만일 면적이 다르다면, 면적에 반비례해서 서로 다른 쉬스특성의 쉬스가 생기겠고, 면적비에 반비례해 해서 쉬스전위 크기가 형성될것이고, 플라즈마전위는 공유하니, 차이가 나는 것은 표면 전위의 차이로 나타나겠지요. 이 경우에는 표면 전위, 즉 self bias 값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이온속에 차이만큼의 전자속의 변화가 있어야 하므로, 충전되는 하전량의 차이가 생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강의에서 들으신 설명에 대해서 저도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