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

안녕하세요 저는 기계공학과 이성환교수님 연구실의 석사3기 최인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레이저로 steel등을 가공할때 발생하는 플라즈마의 밀도를 측정하는데 어떤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

Ablation plasma를 측정하기는 매우 까다로운 문제일 것 입니다.
특히 대기압 상태에서 측정이 되었다 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점이 고려되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할 것 입니다.
대기압 플라즈마는 매우 충돌성이 커서 충돌성에 대한 고려가 되어 있는 가?
이러한 플라즈마는 pulse 형태로 발생되며 측정하여야 함으로 시간에 대한 resolution이 정확한가?
만들어진 플라즈마의 이온의 종류를 어떻게 결정하였는가?
최소한 이러한 조건에 대한 정보가 전제된 측정이어야 할 것 이며 이 조건을 맞추기 위한 장치는
ablation 장치에 버금가는 투가가 요구될 것 으로 사려되고 운영에도 고도의 기술이 요구될 것 입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5] 10384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754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642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575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6095
155 교육 기관 문의 17844
154 Breakdown에 대해 21675
153 이온주입량에 대한 문의 20908
152 Peak RF Voltage의 의미 22868
151 electrode gap 18161
150 RF 플라즈마와 Microwave 플라즈마의 차이 [해리와 세정 활성종] 97788
149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플라즈마 18433
148 플라즈마의 어원 [Langmuir] 16468
147 확산펌프 [DP 변수 검토] 20664
146 플라즈마에 관하여 [플라즈마 기초] 19069
145 핵융합 발전에서 폐기물이 않나오는…. [처리와 재활용] 18678
144 플라즈마을 막는 옷의 소재는? [옷의 소재 표면 처리] 18646
143 스퍼터링시 시편 두께와 박막두께 [박막의 하전량 변화] [1] 22053
142 Plasma source type [CCP, ICP, TCP] 80477
141 플라즈마를 이용한 발광시스템에 관한 연구 [Plasma lamp] 17206
140 CCP의 electrod 재질 혼동 [PECVD와 화학물 코팅] 16665
139 PECVD에서 플라즈마 demage가 발생 조건 [쉬스와 플라즈마 밀도에 의한 damage] 30147
138 플라즈마 코팅 관하여 [PECVD와 화학물 코팅] 22231
137 wafer 전하 소거: 경험 있습니다. 20613
136 플라즈마가 불안정한대요.. [압력과 전력 조절] 24672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