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

지난번 교육때 교수님께서 하신 강의가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앞으로 플라즈마를 다루는데 많은 도움이 될것같습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제가 실험하고 있는 장비에서 test 중
이상한 현상이 있어서 메일 드립니다. 살펴보시고 예측이 되는 현상이었는지 확인을 좀 부탁드립니다.
  

1. Ar

reactor 내부에 Ar gas만을 채운 상태(3Torr, 400sccmAr)에서 플라즈마 매칭을 시키고 (manual, Ref. 0W)
플라즈마를 off 한 후 다시 on을 하게 되는 경우 reflect power가 발생됨.(100W rf power에 58W 발생)

CL : 109
CT : 736

CL값을 다른 값으로 입력한 후 곧바로 다시 109값을 넣으면 reflect power가 0W 됨.
(따라서 매칭값은 맞는 상태임)

또다시 rf off -> rf on 시키면 같은 현상 발생됨.

2. O2

reactor 내부에 O2 gas만을 채운 상태(3Torr, 400sccmAr)에서 플라즈마 매칭을 시키고 (manual, Ref. 0W)
플라즈마를 off 한 후 다시 on을 하게 되는 경우 reflect power 없는 플라즈마 발생됨.( Ref. 0W)  

***O2 의 경우는 안정한 플라즈마이긴 한데 DC-bias가 0V 임.***


3. 1의 경우 reactor내부 susceptor에 wafer가 없으면 O2와 같이 reflect power가 없는 플라즈마 발생됨.

  (susceptor : Ni 재질, reactor : sus 재질, Wafer : Ta2O5 wafer)

이상입니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이해가 잘 안됩니다. 교수님의 advice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

문제가 쉽지 않습니다.
쓰시는 장비가 capacitively coupled plasma source (ccp)장치의 하나인 것 같고 matching system의 Q값이
아주 커서 operation window가 좁은 것 같습니다.

CCP 장치는 electrode가 plasma 와 직접 맞닿아 있기 때문에 plasma로 부터 발생되는 플라즈마 전류와 전위 값은
power supply-matching system-reactor로 구성된 회로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플라즈마 전류는 플라즈마 온도와
밀도에 큰 영향을 받으며 발생되는 플라즈마의 특성 변화는 역시 matching 조건의 변화를 야기하게 됩니다.
질문에서와 같이 Ar/O2 플라즈마에서 bias potential의 차이가 생기는 이유도 외부적인 여건 변화에서가 아니라
플라즈마 자체의 특성의 차이에서 기인하고 있습니다. 현재 운전중인 조건에서 O2 플라즈마는 일반적인 Ar 플라즈마와
비교하여 볼 때 특성의 차이를 갖습니다. 즉, O2 플라즈마의 경우는 electronegative plasma를 만드는데 이는
이온,전자, 음이온(입자에 전자가 흡착된 경우)으로 구성된 플라즈마의 성질을 갖으며 이 플라즈마의 공간내에서의
확산운동은 음이온이 많은 경우와 적은 경우에 따라 다르게 되며 (음이온 발생은 압력에 민감) 이 결과는 곧 전극으로
손실되는 전하의 양이 변화하고 따라서 전류값이 다르게 됨을 의미합니다. - 아직도 이에대한 정량적인 분석은
이뤄지고 있지는 않으나 음이온의 역할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이와  비교하여 보면
Ar 플라즈마의 경우에는 우리가 알고있는 일반적인 플라즈마의 특성 (양이온과 전자로 구성)을 그대로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두 플라즈마의 특성은 분명 다를 것입니다. 또한 같은 조건에서 플라즈마 밀도는 Ar의 경우가 O2보다  일반적으로
높습니다. 아울러 wafer가 놓여 있는 경우 electrode 앞에 또 하나의 capacitor가 놓여 있어
전하의 하전에 따른 영향이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이 변화 역시 도체표면으로 직접 전하가 손실되고
있는 상황에 비해서 다른 결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따라서 이 같은 반응기 내부의 영향에 matching이 너무 민감하게
변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high Q 값을 갖는 matching system의 Q를 조금 낮추도록 설계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high Q 장비는 제한적인 조건의 운전에는 아주 용이하나 현재와 같은 여러가지 조건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내부 변수의 변화에 너무 민감하게 변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재의 matching system이 이 같은 조건에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현재로서는 말씀드리기 어려워 아쉽습니다.
(장비에 관해서 정보가 너무 부족합니다.) 단지 위와 같은 현상을 고려하여 현재의 상황을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었기를 기대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3154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9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487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50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911
153 이온주입량에 대한 문의 20907
152 Peak RF Voltage의 의미 22856
151 electrode gap 18153
150 RF 플라즈마와 Microwave 플라즈마의 차이 [해리와 세정 활성종] 97719
149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플라즈마 18431
148 플라즈마의 어원 [Langmuir] 16460
147 확산펌프 [DP 변수 검토] 20660
146 플라즈마에 관하여 [플라즈마 기초] 19060
145 핵융합 발전에서 폐기물이 않나오는…. [처리와 재활용] 18673
144 플라즈마을 막는 옷의 소재는? [옷의 소재 표면 처리] 18640
143 스퍼터링시 시편 두께와 박막두께 [박막의 하전량 변화] [1] 22041
142 Plasma source type [CCP, ICP, TCP] 80441
141 플라즈마를 이용한 발광시스템에 관한 연구 [Plasma lamp] 17195
140 CCP의 electrod 재질 혼동 [PECVD와 화학물 코팅] 16655
139 PECVD에서 플라즈마 demage가 발생 조건 [쉬스와 플라즈마 밀도에 의한 damage] 30123
138 플라즈마 코팅 관하여 [PECVD와 화학물 코팅] 22218
137 wafer 전하 소거: 경험 있습니다. 20605
136 플라즈마가 불안정한대요.. [압력과 전력 조절] 24662
135 플라즈마 온도 질문+충돌 단면적 [전자의 에너지에 따른 충돌반응] 22144
134 DCMagnetron Sputter에서 (+)전원 인가시 [플라즈마 부유 전위] 19802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