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RF에 대하여,, [Pierson coil과 V-I probe]
2004.06.21 15:27
질문 ::
안녕하십니까??
플라즈마를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여러가지 면에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RF에 대하여 몇가지 질문이 있어 이렇게 문의를 드리게 되었습니다.
1) RF plasma에서의 plasma sustain mechanism은 sheath oscillation이라 고 책에서 보았는데,, 보충 설명을 부탁드리겠습니다.
2) 그리고 cathode 표면에 유도되는 self bias를 왜 DC 전위라 하는지,,
알고 싶고요,, Vrf = Vdc + V COS wt의 의미도 설명부탁드립니다.
3) 마지막으로 RF POWER 300W를 사용하여 방전실험을 하고 있는데,,
gauge에선 power값만 읽을 수 있는데,, 방전 전압과 방전 전류를 측정할수 있는 방법은 없을런지요??
두서없이 많은 질문을 한거 같은데,, 답변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
안테나에 인가되는 전류 전압을 직접 측정하고자 한다면 안테나의 ground 단에 pierson coil등으로 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인가되는 전압은 high voltage probe를 이용하여 측정합니다. 측정 위치는 모두
M/B 다음단과 안테나 사이에서 측정하여야 실제 안테나 load 전압/전류를 알수 있습니다. 혹은 V-I probe라는
장치를 M/B 전단, 즉 power supply와 M/B 사이에 연결하여 인가되는 전압/전류 곡선을 얻으며 smith chart를
통하여 현재 matching 여건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값으로 실제 형성되어 있는 플라즈마의 전류
등에 대한 정보를 유추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 102912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24689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61430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73480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105842 |
133 | DC SPT 문의 [절연체의 전위] | 19775 |
132 | ICP에 대하여 [DC glow 방전과 ICP 플라즈마 발생] | 18326 |
131 | SCCM 단위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Flow rate] | 148784 |
130 | Electrode의 역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이차전자의 방출과 스퍼터링] | 17504 |
129 | 플라즈마에 대해서 꼭알고 싶은거 있는데요.. [디바이 차폐와 이온화된 가스] | 12516 |
128 | 반응기의 면적에 대한 질문 [전극의 면적에 따른 전압 강하] | 12912 |
127 | k star [기초과학지원 연구원] | 16036 |
126 | 플라즈마 물리학책을 읽고 싶습니다. [플라즈마 도서 추천] | 28405 |
125 | 플라즈마 분배에 관하여 정보를 얻고 싶습니다. [플라즈마 영향 인자] | 13308 |
124 | 저온 플라즈마에 관한 질문 | 18286 |
123 | 핵융합에 대하여 [상온 핵융합 관련 연구 동향] | 8639 |
122 | 기중방전에서 궁금한것이 | 19283 |
121 | sheath와 debye sheilding에 관하여 [전자와 이온의 흐름] | 28424 |
120 | 플라즈마를 손으로 만질 수는 없나요 [플라즈마의 온도와 밀도] | 19811 |
119 | 플라즈마와 비행기에 미쳤거든여…^ _ ^ ; [플라즈마 우주선 추진 엔진] | 15770 |
118 | 플라즈마를 알기위해서는 어떤것을 알아두는 것이 좋.. [플라즈마 기초] | 18094 |
117 | CCP/ICP에서 자석의 역할에 대하여 [ICP와 자기장의 역할] | 19472 |
116 | 플라즈마 실험 | 21425 |
115 | esc란? | 28289 |
114 | PDP 에 대해서.. | 18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