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 DRAM과 NAND에칭 공정의 차이
2018.08.06 11:06
안녕하십니까?
DRAM과 NAND에칭 공정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공정에서 주입되는 가스의 종류와 전기적 즉 HF/LF VPP의 차이도 있는거 같습니다.
DRAM과 NAND의 소자구조와 기능은 알겠으나.....공정조건의 차이가 왜나는지가 궁금합니다.
막질이 다름으로 인해...사용되는가스가 다른건지요?
공정조건이 다른 가장 큰 이유가 궁금합니다.
확인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수고십시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82] | 75026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8870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342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6864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8352 |
103 | 고온 플라즈마 관련 | 8058 |
102 | 플라즈마 균일도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 7739 |
101 | 플라즈마 쪽에 관심이 많은 고등학생입니다. [1] | 7626 |
100 | 안녕하세요, 질문드립니다. [2] | 6529 |
99 | 플라즈마 데미지에 관하여.. [1] | 6319 |
98 | O2 플라즈마 표면처리 관련 질문2154 [1] | 6048 |
97 | 모노실란(SiH4) 분해 메카니즘 문의 | 5796 |
96 | RPS를 이용한 NF3와 CF4 Etch Rate 차이 [4] | 5593 |
» | DRAM과 NAND에칭 공정의 차이 [1] | 5146 |
94 |
SiO2를 Etching 할 시 NF3 단독 보다 O2를 1:1로 섞을시 Etching이 잘되는 이유
[1] ![]() | 4702 |
93 | 안녕하세요. O2 plasma etching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1] | 4679 |
92 | SiO2 식각 위한 Remote Plasma Source관련 질문 드립니다. [1] | 4320 |
91 | Dry Etching Uniformity 개선 방법 [2] | 3827 |
90 | Plasma 식각 test 관련 문의 [1] | 3788 |
89 | SiO2 박말 밀도와 반응성 간 상관 관계 질문 [1] | 3762 |
88 | 플라즈마 색 관찰 [1] | 3607 |
87 | DC스퍼터링과 RF스퍼터링에서의 처음 전자의 출처와 처음 이온의 생성 질문 [2] | 3383 |
86 | HF + LF 사용 중, LF와 POWER와의 관계에 대한 질문입니다. [1] | 3305 |
85 | ICP-RIE process 및 plasma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2] | 3218 |
84 | Plasma Etch시 Wafer Edge 영향 [1] | 3152 |
염근영교수님의 저서 "플라즈마 식각 기술 (미래컴 출판사)"를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