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IEDF EQP에 대한 답변
2004.06.19 16:02
첨부된 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MS word 파일입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5] | 103812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24754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61630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73575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106086 |
55 | 스퍼터링 후 시편표면에 전류가 흘렀던 흔적 [Capacitance와 DC ripple] | 18155 |
54 | Noise 문제, 탐침에 의한 식각 플라즈마의.. [RF ground와 Cl Plasma] | 19824 |
53 | self bias [Capacitor와 mobility] [1] | 19815 |
52 | rotational vibration excitation [TLD와 IRLAS] | 18309 |
51 | 플라즈마 matching [Heating mechanism, matching] | 20530 |
50 | DBD란 | 28135 |
49 | ccp-icp | 21990 |
48 | 플라즈마의 상태 | 14216 |
47 |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관계 | 29129 |
46 | 충돌 | 17913 |
45 | 유전체 플라즈마 | 17739 |
44 | sputtering | 18447 |
43 | 증착에 대하여... | 18221 |
42 | nodule의 형성원인 | 16929 |
41 | 물리적인 sputterting | 18488 |
40 | 산업용 플라즈마 내에서 particle의 형성 | 15193 |
39 | 물질내에서 전하의 이동시간 | 29476 |
38 | CCP의 Vp가 ICP의 Vp보다 높은 이유 | 20156 |
37 | Plasma potential이.. 음수가 될수 있나요?.. | 16034 |
36 | 에칭후 particle에서 발생하는 현상 | 98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