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은퇴후 자작으로 해봅니다.

이쪽은 생소한 분야라서 공부하면서 실험합니다. (본래 저는 전자공학을 전공했습니다.)

백금족 전극으로 수도물에

1)  DC 12V를 인가하여 5분간 전기분해 개념으로 작동했더니, >> ORP = -200~-300mV, Ph=7.5~7.7, 수소 300~400PPB 정도가 생성,

2) 같은 조건으로 30초 간격으로 전극의 극성을 바꾸었더니 측정 결과는 조금 높게 나옵니다.

3) 그리고 이번에는 DC 12, 10KHz 구형파를 작동식켜보니 좀더 나은 데이터가 나오고

4)  24KHz를 걸어보니 좀더 나은 데이터가 나오는데

질문은요...

(1) 위 실험 중에서 전기분해와 플라즈마 발생을 나눌 수 있나요.

    예를들면 1), 2)는 전기분해, 3),4)는 플라즈마...

(2) 위 1과 2가 다른 데이터가 나오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3) 3,4 에서 주파수를 계속높이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

(4) 그렇다면 주파수는 얼마까지 높일 수 있나요.

설명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59] 7301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7612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5513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5694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6025
87 데포 중 RF VDC DROP 현상 [1] 1306
86 강의를 들을 수 없는건가요? [2] 1294
85 플라즈마 실험을 하고 싶은 한 고등학생입니다.... [1] 1283
84 플라즈마 내에서의 현상 [1] 1278
83 PECVD 공정 진행중 chamber wall 부분에서 보이는 plasma instability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1260
82 O2 plasma etching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1236
81 CVD (CCP) 공정의 Chamber seasoning과 플라즈마 밀도 [1] 1230
» 플라즈마 기초입니다 [1] 1148
79 LF Power에의한 Ion Bombardment [2] 1087
78 플라즈마의 직진성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2] 1084
77 플라즈마에서 가속 전압 또는 RF 파워 관련 질문드려요. [1] 1060
76 RF 전압과 압력의 영향? [1] 1060
75 glow 방전 현상과 플라즈마 현상에 궁금하여 글 남깁니다. [2] 1056
74 자기 거울에 관하여 1049
73 쉬쓰 천이지역에 관한 질문입니다. [1] 1022
72 Group Delay 문의드립니다. [1] 994
71 플라즈마 입자 운동 원리(전자기장에서) [1] 984
70 low pressure 영역에서 아킹이 더 쉽게 발생하는 이유에 관해 문의드립니댜. [1] 982
69 Edge ring과 플라즈마 밀도 균일성 [1] 976
68 플라즈마 코팅 [1] 975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