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sma in general 플라즈마 기초입니다
2018.04.08 17:48
안녕하세요
은퇴후 자작으로 해봅니다.
이쪽은 생소한 분야라서 공부하면서 실험합니다. (본래 저는 전자공학을 전공했습니다.)
백금족 전극으로 수도물에
1) DC 12V를 인가하여 5분간 전기분해 개념으로 작동했더니, >> ORP = -200~-300mV, Ph=7.5~7.7, 수소 300~400PPB 정도가 생성,
2) 같은 조건으로 30초 간격으로 전극의 극성을 바꾸었더니 측정 결과는 조금 높게 나옵니다.
3) 그리고 이번에는 DC 12, 10KHz 구형파를 작동식켜보니 좀더 나은 데이터가 나오고
4) 24KHz를 걸어보니 좀더 나은 데이터가 나오는데
질문은요...
(1) 위 실험 중에서 전기분해와 플라즈마 발생을 나눌 수 있나요.
예를들면 1), 2)는 전기분해, 3),4)는 플라즈마...
(2) 위 1과 2가 다른 데이터가 나오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3) 3,4 에서 주파수를 계속높이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
(4) 그렇다면 주파수는 얼마까지 높일 수 있나요.
설명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20] | 75431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166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480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562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9369 |
102 | CCP기반 power와 Etch rate 관계에 대해 여쭈어드립니다. [3] | 1503 |
101 | O2 플라즈마 클리닝 관련 질문 [1] | 1472 |
100 | 데포 중 RF VDC DROP 현상 [1] | 1427 |
99 | 플라즈마 rotational temperature에 관해서 질문드릴게 있습니다. [1] | 1397 |
98 | 강의를 들을 수 없는건가요? [2] | 1381 |
97 | PECVD 공정 진행중 chamber wall 부분에서 보이는 plasma instability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 1372 |
96 | 플라즈마 입자 운동 원리(전자기장에서) [1] | 1372 |
95 | RF 전압과 압력의 영향? [1] | 1370 |
94 | 플라즈마 내에서의 현상 [1] | 1342 |
93 | O2 plasma etching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 1323 |
92 | Edge ring과 플라즈마 밀도 균일성 [1] | 1283 |
91 | glow 방전 현상과 플라즈마 현상에 궁금하여 글 남깁니다. [2] | 1282 |
90 | standing wave effect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1] | 1225 |
» | 플라즈마 기초입니다 [1] | 1220 |
88 | low pressure 영역에서 아킹이 더 쉽게 발생하는 이유에 관해 문의드립니댜. [1] | 1207 |
87 | 플라즈마에서 가속 전압 또는 RF 파워 관련 질문드려요. [1] | 1183 |
86 | 플라즈마의 직진성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2] | 1157 |
85 | 플라즈마 관련 교육 [1] | 1130 |
84 | CVD 막질의 성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 1117 |
83 | Plasma Cleaning 관련 문의 [1] | 1106 |
물속에서 플라즈마 방전은 고전압이 필요합니다. 즉, 플라즈마는 이온화된 가스 상태이니 순간적으로 가스상태를 거치거나 물 분자의 분극이 심화되면서 절연 파괴가 일어나는데 에너지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 전압 펄스 방전을 쓰거나, 또한 두 전극 사이가 매우 가까운 경우가 아니라면, 위의 조건에서는 전해 이온이 만드는 전류값으로 보이는 전기 분해의 현상이라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문제는 전기 화학에서 많이 다루는 문제로 보입니다. (참고하실 수 있는 참고서로 "impluse breakdown of liquids" (Ushakov, Klimkin, Koroberynikov, Springer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