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 저는 최근들어 반도체공정관련해서 공부중인 지나가던(?) 기계공학과 학생입니다 !

다름이 아니라 , 플라즈마 sheath에 대해 찾아보니까 약간 개념적으로 정확하게 잘 정립이 안되서 이곳저곳 찾다가 이곳을 알게되어

이렇게 질문을하게 되었습니다.

 

플라즈마 sheath는 제가 찾아본바에 의하면 , 전자는 양이온보다 속도가 빨라서 chamber벽 같은곳에 흡수가 잘되어서 결국 소실되는게 많아

상대적으로 양이온,중성자만 많게된 곳을 sheath라고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 sheath 층은 얇을수록 플라즈마 bulk( 플라즈마 sheath가 아닌영역)안에 있는 양이온이 이동하기가 쉬워서 결국 wafer를 양이온으로 dry etch하는게 더 쉽다는데,

 

1.왜 sheath층이 얇을수록 양이온이 더 이동하기 쉬운지 알고싶습니다.

 

2. 그리고 sheath층을 줄이려면 어떤방법들이 있을까요??   ex> (답은아니겠지만...) 가해주는 전압을 줄인다. 등등 간단한식으로 말씀해주셔도 전혀 상관없습니다 !! 

 

감사합니다 교수님 !!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85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88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414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78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830
673 MFC [Direct liquid injection] 19414
672 전자온도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이 있습니다. [전자 가열 매커니즘과 이온 에너지] [1] 19336
671 기중방전에서 궁금한것이 19283
670 RF를 이용하여 Crystal 세정장치 [RF 방전과 이온 에너지] [1] 19162
669 AMS진단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file 19118
668 플라즈마에 관하여 [플라즈마 기초] 19058
667 플라즈마의 환경이용 18848
666 플라즈마진단법엔 어떤것이? [접촉/비접촉식 진단법] 18837
665 등온플라즈마와 비등온플라즈마 [Pressure와 temperature] 18834
664 surface wave plasma에 대해서 [Microwave와 electron temperature] [1] 18799
663 주변의 플라즈마에 대하여 [Neon sign과 태양] 18745
662 안녕하세요 반도체 공정 중 용어의 개념이 헷갈립니다. [공정 용법] [1] 18695
661 형광등에서 일어나는 물리적인 현상 [Film coating과 Ion frequency] 18671
660 핵융합 발전에서 폐기물이 않나오는…. [처리와 재활용] 18670
659 플라즈마을 막는 옷의 소재는? [옷의 소재 표면 처리] 18636
658 최적의 펌프는? [Turbo Pump와 corrosion free] 18635
657 RF compensate probe 18538
656 질문 있습니다. [Plasma breakdwon과 plasma particle] [1] 18531
655 Faraday shielding & Screening effect [Fluctuation과 grid bias] 18484
654 물리적인 sputterting 18478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