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전자공학과 3학년 학부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최근 플라즈마를 이용한 Etching 시 발생하는 이슈 중, notching 현상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겨 공부 중입니다.

연구실에 소속되어있지 않아 실험이 불가능하여, 다음과 같이 생각 정도만 해보았는데, 의견 부탁드립니다.

 

Ar plasma, O2 plasma 중 Ar plasma에서의 notching 현상이 더 두드러질 것으로 예측

notching 현상 발생 원인: 식각 시, 하부 표면이 양이온에 의해 대전되어 하부 측면에 비정상적인 식각이 발생  

분석:

1. Ar의 분자량이 O의 분자량보다 높으므로, Ar 이온& 전자의 이동도 차이가 더욱 극심하여 대전이 더욱 활발할 것.

2. O2 plasma의 경우, O2가 분자 형태이므로 dissociation에 의해 energy loss가 발생하여 플라즈마 밀도가 낮을 것

3. 산소의 전자 친화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음이온 생성량이 많아 electron loss로 인해 플라즈마 밀도가 낮을 것

->플라즈마 밀도가 높은 Ar에서 대전이 더욱 활발할 것으로 예측

4. RF Bias가 높을수록 대전이 더욱 잘 일어나지만, 일정 조건에서 플라즈마 밀도를 낮춘다는 연구 결과에 기반하면 상세한 조건 설정이 요구. 

결론:

같은 압력, 전력 조건에서는 Ar 플라즈마에서 대전이 더욱 잘 발생하고, 플라즈마 밀도 뿐만 아니라, 플라즈마에서 양이온이 차지하는 비율이 더욱 크므로 notching 현상이 더 두드러질 것.

 

 

감사합니다.

 

+추가적으로, Ar 플라즈마에서도 유의미한 양의 음이온이 생성될 수 있는지,

O2 플라즈마에서 양이온&음이온의 생성 비율에 대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0] 10221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573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232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315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540
813 RF sputtering reflect power에 대해서 질문 남깁니다. 355
812 Druyvesteyn Distribution 359
811 CCP 장비 하부 전극 dc 펄스 전력 [1] 363
810 RF generator의 AMP 종류 질문입니다. [RF Power] [1] 373
809 반사파에 의한 micro arc 질문 [VHF 전력 인가] [2] 376
808 Ni DC 스퍼터 관련 질문있습니다. [Base pressure 이해] [1] 391
807 챔버 내 전자&이온의 에너지 손실에 대해 [에너지 균형과 입자 균형식] [1] 392
806 플라즈마 사이즈 측정 방법 [플라즈마 분포 측정 및 산포 평가] [1] 395
805 HF와 LF중 LF REFLECT POWER가 커지는 현상에 대해서 도움이 필요합니다. [2] 397
804 화장품 원료의 플라즈마 처리 문의 [환경 플라즈마] [1] file 406
803 실리콘 수지 코팅 Tool에 Plasma 클리닝 시 코팅 제거 유/무 [대기압 플라즈마, highly collisional plasma] [1] 407
802 Si 와 SiO의 선택적 식각 관련 문의입니다. 408
801 DBD 방전 방식의 저온 플라즈마 관련해서 3가지 질문 드립니다. [DBD 방전과 DC breakdown] [1] 418
800 liquid plasma 공부 방향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1] 418
799 Wafer Capacitance 성분과 Vdc 관계 문의드립니다. [Sheath 크기 및 전위 분포] [1] 419
798 AP plasma 공정 관련 문의 [OES 활용 장비 플라즈마 데이터 분석] [1] 421
797 구 대칭으로 편광된 전자기파를 조사할 때에 대한 질문입니다. [초고밀도 플라즈마] [1] file 423
796 Massbalance equation 에서 P(t) 유도과정 426
795 ICP에서 전자의 가속 [Plasma breakdown 이해] [1] 432
794 진공 챔버에서 Plasma Off시 Particle의 wafer 표면 충돌 속도 [Sheath energy] [1] 439

Boards


XE Login